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즉, 양자컴퓨터가 개발된 뒤에도 뚫릴 위험이 없다. 윤 교수는 “앞으로도 새로운 암호 알고리즘을 설계하거나, 양자 안전성을 증명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교수는 그밖에도 암호학적으로 보호된 데이터를 가지고 연산을 하는 동형 암호와 함수 암호, 암호학적 기반 문제 및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Epilogue. 그리고… 아무도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일생동안 알을 낳을 수 있다. 알을 비교적 짧은 주기로 여러 개 낳는데다, 암컷이 알집을 안전한 곳에 숨겨두는 본능을 가졌다. 빙하기가 들이닥치고, 지구에 소행성이 부딪혀도 살아남은 비결이다.그런데 최근에는 이보다 훨씬 놀랍고 소름끼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컷 없이 암컷끼리도 번식이 ... ...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앞두고 찾아본 이 교수의 연구 목록만 보고 사실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인줄 알았다.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에너지 화학공정,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한 화학공정 등 에너지와 관련한 연구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에너지공학과의 차이를 묻자 “에너지공학이 자원에 대한 연구라면,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에버렛 3세는 많은 세계 해석을 최초로 제안했지. 브라이스 디윗은 에버렛의 해석을 널리 알렸지만 아무런 의문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어. ‘내가 여러 세계로 분리돼 나가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고 생각했지. 그러자 에버렛은 “초속 30km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느낌이 드나요?”라고 되물었어. ... ...
- [과학뉴스] 큰 눈 덕분에 바다에서 육지로 진화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생물 화석 59개를 연구했어요. 그 결과 눈 크기가 13mm에서 거의 3배가 커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지요.물속에서는 시력이 크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큰 눈은 쓸모가 없어요. 하지만 수면 위에서 바깥을 볼 때는 큰 눈이 필요해요. 볼 수 있는 범위가 엄청나게 넓어지거든요.연구팀은 동물 눈이 커질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항암제를 먹인 뒤 행동과 성장 등을 관찰한 결과 벌레의 크기 변화, 알의 개수, 알의 부화 속도, 생식세포의 형태 등을 통해 항암제의 독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기존 독성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용 쥐 100마리를 희생시켜야 하고 실험 기간도 한 달이 걸렸던 반면, 이번에는 포유동물의 희생 없이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0% 확률로 0 또는 1의 값이 결정된다. 즉, 검출된 양자의 정보값을 확인해보면 도청 여부를 알 수 있다. 수학적으로 풀 수 있는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암호이기 때문에 아무리 빠른 양자 컴퓨터가 나온다 해도 안전하다.양자 단일키 전송방식, 그리고 트러스트 노드현재는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후각이 예민해 아주 옅은 향기라도 잘 맡고, 서로 다른 냄새를 잘 구분하는 사람을 ‘개 코’라고 부른다.다른 사람들은 전혀 분간이 되지 ... 대한 오명을 벗기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대뇌가 감추고 있는 수많은 신비를 하나씩 알아가기 위해서라도 후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무런 연관이 없다(r = 0). 나 때문에 상대방이 이득을 보건 손해를 보건 그건 내가 알 바 아니다. 악의의 진화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악의적 행위자가 손실을 감수하면서 상대방에게 해를 끼쳤을 때, 피해를 본 상대방의 주변 이웃은 덕분에 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줄어드는 뜻밖의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