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감소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풍동실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시간에 결과를 알 수도 있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공기나 물의 흐름과 관련 있는 현상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선수들의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런 프로그램이 세계 곳곳에 생겨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공부하는 게 왜 중요한지 알면 좋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Part 3. 산업수학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돕고 있다는 건 몰라.”“그럼 여태까지 엄마의 편지를 전해준 게 너야? 왜 나한테 그냥 알려주지 않았어? 학교 안에는 마고도 없잖아.”“그래도 조심하는 게 좋아. 우리 아빠도 내게 직접 전해주지 않아. 기차역 보관함에 편지를 넣어 놓으면 내가 찾아가는 식이었어. 이번에 네가 직접 찾아가게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미를 먹었는데, 개미 사회에 위장해 들어가면 더 풍부한 먹이를 먹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점점 몸의 모양을 바꾸게 된 거예요.또, 연구팀은 서로 다른 12종의 반날개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모두 개미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했다고 밝혔어요. 이렇게 서로 다른 종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비슷하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다들 괜찮아?”“으으, 괜찮아. 근데 여긴 어딜까? 사방이 다 비슷해 보여서 방향을 알 수가 없네.”“우리 각자 길을 찾아보고, 무언가를 찾으면 큰 소리로 서로를 부르는 건 어때?”친구들은 모두 다른 방향으로 흩어져 그곳에서 벗어날 길을 찾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한 10분이 지난뒤, 오로라가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가마 속 공기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비율에 따라 나타나는 색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황 교수는 재료와 불, 공기, 유약을 바르는 두께 등 모든 변수들을 하나하나 바꿔가면서 새로운 유약을 만드는 연구를 15년째 하고 있다. 그의 지도교수였던 이병하 명지대 교수 때부터 시작해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기의 부모는 도통 그 말뜻을 알 길이 없어, 그저 아기들이 흔히 입에 담는 의미 없는 옹알이겠거니 생각했다. 하지만, 우주 제국의 황제는 “황제의 영원한 친구이자 제국의 구원자”라는 뜻으로 수여되는 명예로운 칭호, “치카우”가 누구를 가리키는 말인지 정확히 기억하고 있다.그리고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늘렸을 때 1~2년 뒤 생선 수가 얼마나 되는지 예측할 수 있어 어획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Part 3. 산업수학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들여다 보면, 논문 마지막에 “다리와 날개에 생긴 눈이 실제로 눈의 기능을 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적혀 있습니다. 무척 중요한 지적이죠. 제 아무리 강력한 핵심 유전자라고 해도 (그래서 엉뚱한 곳에 눈을 만들어 놓았다고 해도)이 눈이 머리에 있는 눈과 똑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지는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쓸데없는 생각이나 감정을 버리기가 훨씬 쉬워진다. 무엇을 버려야 할지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담아온 이런 마음과 마음의 뿌리인 습관들을 버리면, 마음이 행복해진다. 게다가 잡념과 번뇌도 사라져 일의 능률도 높일 수 있다.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