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염기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박테리아에 주입했다. 배양접시 위에 올려진 합성박테리아 위에는 자외선 등을 설치했고, 관객은 원격으로 이 자외선을 끄고 켤 수 있었다. 자외선에 의해 합성 박테리아의 유전자는 변이를 일으키고, 변이된 유전자는 다시 모스부호를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연구팀은 질소화합물 수입국과 수출국 사이의 수출입 품목과 양을 분석했다. 예컨대 한국은 생산 과정에서 질소화합물을 배출하는 어떤 물건을, 어느 나라에서 많이 수입하는지 세부적으로 알아본 것이다.그에 따르면 한국은 수입하는 상품에 포함된 전체 질소 배출량의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차이가 있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빈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최종산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사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쓰고자 한다면 대장균의 생체 시스템이 좀 더 정확하게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CGC를 CGT로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시체농장에서 진행하고 있다.온도나 습도, 동물의 활동 등 다양한 요인이 시신의 부패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할 때 특정 연구의 결과를 검증 절차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에만 여섯 군데의 시체농장이 있고 지역과 기후에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을 선물했다. 하지만 그 결과로 제우스 신의 노여움을 사게 됐고, 바위에 쇠사슬로 묶여 독수리에게 심 ... 독이 있다는 것을 이 아름다운 웅황이 잘 보여준다. 마치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선물한 불이 가진 양면성처럼 말이다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2). 타인과 함께 식사할 때는 섭취량을 조절하지만 혼자 식사를 할 때는 자신이 먹고 싶은 양만큼 먹음으로써 체중조절이 어려워지는 것이다.특히 혼술은 더 위험할 수 있다. 임선영 가천의대길병원 신경정신과 교수가 2005년 발표한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중독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에 따르면,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화제였지만, 이런 학습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선 그전에 이뤄져야 할 것이 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집약형 컴퓨팅(Data-intensive Computing)이다.컴퓨터가 등장한 이후, 점점 더 큰 용량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수가 됐다. 현재 ‘대세’가 된 빅데이터 또한 데이터 처리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서서히 청남색을 띠게 되지요. 즉, 음료 안에 든 비타민 C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양의 요오드를 떨어뜨려야 색을 볼수 있어요. 실험 결과 유자 주스, 사과 주스, 녹차 순으로 비타민 C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기자들이 마지막으로 한 실험은 콜라캔을 잔뜩 얹을 수 있는 튼튼한 다리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렇게 함수나 공간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수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어요. a, b, c가 양의 정수이고, n이 3 이상의다시 보형 형식과 관련이 있어요.어떤 계기로 수학자가 되셨나요?처음부터 수학자가 되려고 한 건 아니었어요. 단지 자연과 인간과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었어요. 그래서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를 작고 간단한 수로 바꿔도 상대적인 값이 변하지 않으니 가능한 일입니다.비교하는 양을 기준량으로 나눈 값을 교과서에서는 ‘비의 값’ 또는 ‘비율’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비의 값은 기준량을 1로 볼 때의 비율입니다.비율은 기준량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