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찾았다는 건가요?”“나도 세레스의 궤도를 계산했지.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궤도의 모양을 미리 가정하고 계산했는데, 나는 오차를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했어. 그리고 그 해 말, 내가 예측한 위치와 거의 같은 곳에서 세레스가 나타났지.”내각의 합이 270°인 삼각형“수학자인줄만 알았던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고직능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는 뜻이다. 일자리에서 지금보다 훨씬 더 극심한 양극화 현상이 진행될 것이다. 인공지능이 가져올 파장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마련이 시급하다.인공지능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기술 윤리도 정립해야 한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이 진행되면서 해설가는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꼽힌다.물론 이런 아이디어에 대한 저항도 있다. 양자중력이론의 후보 중 하나인 고리양자중력을 연구하는 미국의 물리학자 리 스몰린은 “시간은 실재하며, 미래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간이 현실의 능동적인 요소이며, 물리학의 법칙 자체가 시간에 따라 바뀔 거라고 제안했다. 과연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식해도 거부 반응이 없습니다. 비글이나 달마시안처럼 점이 있는 종의 경우는, 점의 모양은 약간씩 다르지만 총 넓이가 같았습니다. 각각 다른 공항으로 보낸 복제견에서 똑같이 다리를 끄는 행동이 나타난 사례도 있어요.”외모나 행동은 물론, 탐지 능력 역시 닮는다는 게 지금까지의 분석 ... ...
- [헷갈린 과학] 바다표범VS바다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해양 포유류를 말해요. 흔히 ‘해표’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몸은 원기둥모양으로, 양 끝이 뾰족한 ‘방추형’ 형태를 하고 있어요. 순한 얼굴이 수염 난 강아지를 닮았지만 오리처럼 생긴 짧은 다리가 물에 사는 동물이라는 걸 나타내지요.바다표범의 앞지느러미발은 몸집에 비해 짧고 털로 뒤덮여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추리해 나가며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이 있다. 그것이 바로 역문제의 철학이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역문제를 해결하며 열리게 될 미래가 궁금하다.[중력파★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체가 가속운동하면, 물체 주위로 퍼져나가는 시공간의 잔물결이다.공간이 늘었다 줄었다, 시간이 느려졌다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때’, ‘둥글고 길쭉할 때’, ‘둥글납작할 때’, ‘둥글고 안에만 오목할 때’, ‘C자 모양으로 안으로 말렸을 때’로 나눴습니다. 그리고 각각 찌그러질 때 부피가 얼마나 변하는지 계산했습니다.계산 결과 칸타 교수는 둥글고 안에만 오목한 경우 적혈구의 부피가 1에서 0.64로 줄어들며, 에너지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개로 가치망을 만들었다. 인간 프로기사의 속도로는 1000년 이상 걸릴 정도로 엄청난 양이지만 이 모든 데이터의 뿌리는 결국 인간이다. 알파고끼리 대결을 펼친 것도 결국은 온라인 바둑 고수들의 기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관건은 지금까지 바둑을 뒀던 사람들이 몇 천만 판을 둬도 안 나올 새로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찾았어요. 이곳에서는 커다란 실제 고래뼈에서 독도에 사는 생물들을 비롯한 다양한 바다 생물까지 직접 볼 수 있었어요. 또 한눈에 우리나라의 대표 수산물을 파악할 수 있는 수산물 지도도 전시돼 있었지요. 생생한 바다생물을 통해 바다를 깊이 알고 싶은 친구들은 수산과학관으로 놀러 오세요~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떨어진 우주에서, 태양질량의 36배와 29배인 두 개의 회전하는 블랙홀 쌍성이 합쳐져 태양질량의 62배인 회전하는 블랙홀 하나가 탄생한 사건이었다.오경보 비율(false alarm rate) 오경보 비율은 무작위의 잡음이 우연히 서로 상호작용해 진짜 중력파처럼 보이게 될 주기를 말한다. 이 값이 크면 중력파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