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우주는 언젠가 한 점으로 수렴해 붕괴할 것인가.아인슈타인은 이런 불안정한 우주
이론
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는 우주는 아름답고 영원불멸하다고 믿고 싶었다. 그는 임의로 일반상대론 장방정식에 중력에 반하는 에너지 항을 하나 넣고 우주상수라고 불렀다. 그가 설정한 우주상수는 에너지의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이론
을 다시 찾아서 꼼꼼히 본다. 그리고 문제를 다시 푼다. 그리고 해설 부분을 보면
이론
부분에 나와 있지 않은 것이나 더 쉽게 설명된 것이 있으니 이것을 다시 한 번 보면서 정리한다. 해설을 보면서 다시 문제를 풀어 본다. 이렇게 하면 자연히 한 부분을 3번에 걸쳐 볼 수 있다.물리를 잘하면 ... ...
사막화는 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over -cultivation), 삼림의 파괴(de-forestation), 관개에 의한 염류화(salinisation) 작용 등이 있다.
이론
적으로는 부적절한 토지의 이용이 사막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의 경우는 그런 단순한 이유보다 장기간의 과학적인 관찰에 의해서 얻은 객관적인 평가에 근거해서 설명해야 하는 또 ... ...
좌우로 흔들리는 포니테일의 비밀, 이그노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뛰는 것도 아닌데 왜 머리카락만 좌우로 흔들리는 걸까?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응용수학·
이론
물리학부의 골드스테인 박사와 워릭대, 유니레버 사의 연구자들은 이 모습에 의문을 품고 함께 그 이유를 찾아나섰다. 연구팀은 우선 약 25cm 길이의 머리카락을 수집해 곱슬거림과 빳빳한 정도를 분류한 뒤,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논리에는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논리라면 현대 과학의 어떤
이론
도 신뢰하기 어려워진다.너무 맛있는 게 문제MSG의 문제는 따로 있다. 글루타민산이 아니라 붙어 있는 소듐이다. MSG를 많이 먹으면 자연스럽게 소듐 섭취도 늘어난다. 과도한 소듐 섭취는 고혈압이나 비만, 당뇨의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활발하게 이용된다. 두 물리학자의 노벨상 수상은 양자 컴퓨터 기술을 포함한 양자 정보
이론
이 현 물리학의 발전단계에서 얼마만큼 중요한지를 보여준 예라 할 수 있다(노벨 물리학상을 자세히 알고 싶으면 기획 ‘2012년 노벨과학상’을 꼭 보세요).양자 전송 기술은 양자상태를 멀리 보내는 데만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더 강하다는 뜻이다. 여자가 남자보다 멀티태스킹 능력이 좋아 물질에 유리하다는
이론
도 있다.[해녀는 산소통 없이 잠수해 바다 밑바닥에서 해산물을 채취한다.]조용한 익사, 얕은 물 블랙아웃수시로 잠수하는 일은 몸에 해를 끼친다. 해녀도 예외가 아니다. 만성적인 두통은 흔한 증상이라 ... ...
“조바심내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생각하고 있으니 생물경시대회 준비를 시작해봐. 고등학교에 가서 상을 받을 수 있게
이론
부터 차근차근 해보는 거야.”최근 입시 전반에 인성을 보려고 하는 움직임이 많다. 예체능 소양도 중요한 참고자료로 쓰인다.“피아노 연습도 꾸준히 하렴. 음대 가라는 뜻이 아니야. 스트레스 받을 때 ... ...
스마트폰 속의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GPS위성과 38마이크로초만큼의 시간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았고 이 차이를 상대성
이론
을 이용해 보정해서 정확한 위치를 지도 어플에 표시한다는 것을 알았다. 38마이크로초가 작아 보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에 대한 보정이 없다면 우리는 인천공항에 있는데도 바다 속을 비추는 스마트 폰을 보고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계속 보여주면 되죠. 그런데 왜 1초에 24프레임이냐고요? 그건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에요.
이론
적으로 영화 필름은 1초에 50프레임씩의 속도로 찍고 돌려야 실제 움직임과 같은 영상을 볼 수 있죠. 하지만 그 절반 정도인 24프레임으로 영상을 만든답니다. 우리가 보는 영화도 마찬가지에요. 1초에 2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