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보호막을 프로토스가 아닌 인간의 기술로 구현할 방법은 없을까.3겹으로 된 투명 보호막이론물리학자인 미치오 카쿠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그의 저서 ‘불가능은 없다’에서 ‘플라스마 창-레이저-탄소나노튜브’를 3겹으로 쌓은 투명 보호막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생소한 개념인 플라스마 창 ...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하나 더 소개한다. 로버트 칼드웰 미국 다트무트대 물리학과 교수가 제안하는 ‘빅립’ 이론이다. 암흑에너지가 미친 듯이 위력을 발휘하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다. 별과 별, 은하와 은하를 갈라놓는 정도를 넘어 태양계가 흩어지고 은하가 붕괴하며 결국 우주가 대재앙과 함께 끝장난다. 원자도 ...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배울 점이 있는 상대를 만나 현명하게 연애를 하라는 것이다. 또한 문제집만 풀기보다 이론이나 원리가 실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책을 많이 읽어 보라는 조언을 했다. W학생은 고집이 강해서 다른 사람이 시키는 것을 무조건 하는 스타일이 아니었다. 부모님도 뭐라고 ...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과학고에서는 이 부분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특히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과학이론이 기존의 종교나 윤리 영역과 겹치거나 상충되는 경우가 생기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 생물학이 유전자 기술에 기반을 둔 바이오 테크놀러지(BT, biology technology)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생물 복제, 특히 인간 ... ...
- Intro. 2030 미래무기열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20년 안에 완성된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할 것만 같던 플라즈마 캐논, 투명 보호막 또한 이론적으로 만들 수 있다. SF영화를 현실로 가져오는 미래무기 속 과학을 들여다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30 미래무기열전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Bridge. ... ...
- 진짜 ‘고온’ 초전도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고온 초전도 현상의 특징 중 하나인 영구 자석 띄우기. 액체 질소를 써서 냉각했다. 이를 상온에서 만들 수 있을까. 위 사진은 전기설비용 초전도 선 ... 잃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재료가 130℃까지 초전도 현상을 보였으며, 이론상 700℃ 이상에서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느낌이다.연구는 춘추전국시대에 접어들었다. 윔프는 과거의 영광을 유지하고 초대칭 이론이라는 금자탑을 완성해 줄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강호 비활성 중성미자에게 무릎을 꿇을 것인가. 액시온이 긴 기다림 끝에 왕좌를 차지할 것인가. 싸움은 다시 시작이다.[올해 7월 미국 미시건대 연구팀이 ...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움직임을 조용히 관찰하곤 했지요. 몸을 숨기고 있는 물고기도 저의 관찰 대상이 됐어요. 이론으로만 배우던 생물의 보호 방법을 보고 있자니 신기했어요.‘정말 해양을 연구해야겠다!’는 강한 확신이 들었던 건 표범해삼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예요. 펜눅섬에서 투명 카누를 타는데, 한 친구가 ... ...
-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홀수일 때는 짝수가 되고, 정수가 짝수일 때는 홀수가 된다. 이런 홀짝성은 그래프 이론이나 이산수학의 문제를 풀 때 많이 활용된다.돈 가퍼필드의 카드 마술에서는 홀짝성을 이용해 9개의 방을 두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편리하게 ○, ×라고 하자. 그러면 신기하게도 용의자가 ○에 숨었을 때 홀수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미스터리 서클을 연상케해 사람들의 시선을 끈다. 그런데 이런 작품들 중에는 수학 이론을 주제로 한 것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아폴로니안 개스킷’이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폴로니우스가 발견한 원의 성질을 이용해 만든 도형이다. 아폴로니우스는 세 개의 원이 서로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