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는데, 이것이 비누의 기원이다. 로마시대에는 동물기름과 재를 섞어 비누를 만들었다.
인류
의 역사와 함께 해온 비누의 주 재료는 고래 유지, 쌀겨, 야자수 같은 천연재료였다. 본격적으로 비누를 제조하기 시작한 사람은 1791년 프랑스의 르블랑이다.그렇다면 기름과 재가 만나서 어떻게 비누가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성립하지 못하고 암흑물질의 존재도 확인하지 못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허블망원경을
인류
가 만든 가장 위대한 우주망원경으로 꼽는 것에 대해 나도 동감하고 있다. 사고 뒤에는 항상 내가 있다1986년과 2003년에 각각 나의 형 챌린저호와 콜롬비아호를 사고로 잃은 것은 내 인생에서 가장 끔찍한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더 큰 안정한 핵을 만든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그 에너지를
인류
가 이용한다. 결국 핵분열과 핵융합 둘다 핵결합에너지가 큰, 조금 더 안정한 핵을 만들고 반응 전과 후의 핵들의 결합에너지 차이만큼을 에너지로 방출하면 그 에너지를 이용한다.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날씬한 다리와 통통한 엉덩이날씬한 다리와 통통한 엉덩이는 더위에 적응한 결과다.
인류
는 살아남기 위해 음식이 풍부할 때 체지방을 몸에 저장한다. 그런데 지방층은 몸이 열을 내보내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열이 많이 나는 내장이나 근육을 지방층이 덮게 되면 더위에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이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멸종은 생물 역사에서 공룡의 멸종을 포함해 다섯 번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인류
학자 리처드 리키는 인간 때문에 생명이 사라진 미래를 ‘6번째 대멸종’이라고 불렀다. 우리는 6번째 대멸종을 피할 수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Part 1. 살아남은 50%의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역사학자들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인류
의 역사는 반복되고, 계속해서 이어진다. 문화가 움직이는 형태를 쌓인다는 의미의 퇴적 또는 남겨진 것이라는 뜻의 ‘유산’에 비유하는 것이나 ‘하늘 앞에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쓰이는 이유다.과거를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학문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테라포밍은 아직 너무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 하지만 언젠가는 가능해질 것이다.
인류
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해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Q. 생각해 봅시다 지금의 기술력으로는 행성에 인공적으로 자기장을 만드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자기장이 있는 행성이나 하전 입자가 적게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의 속도로 간다고 해도 엄청난 세월이 걸린다.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인류
는 지금까지 나온 여러 가지 방법을 놓고 고민에 빠진다. 빛의 속도로 움직여라빛의 속도로 움직인다고 해도 외계행성으로 가는 데는 짧게는 몇 년부터 길게는 몇 만 년까지 걸린다.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쉬워진다면 은하계의 수많은 행성이 지구처럼 바뀌는 건 시간 문제일 것이다. 미래의
인류
가 우주를 사람으로 꽉꽉 채울 날은 과연 언제일까.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외계행성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읽는 젊은이가 노인이 됐을 때는 치매란 천연두처럼 먼 옛날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
는 인체에서 가장 알기 어려운 기관인 뇌의 비밀을 꿰뚫고 있을지도 모른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