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바다에 떨어지면 큰 오존 구멍이 생겨
인류
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애리조나에 있는 행성과학연구소의 엘리자베타 피에라조 박사는 지름이 각각 500m, 1km인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는 상황을 가정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다. 연구진은 밀도가 1m3당 2000~3000kg인 소행성이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구름’에서 이같은 생명체를 묘사했다. 이렇게 유기물로 이뤄지지 않은 생명이 과연
인류
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이런 생명체는 사람이 타고 있는 우주선의 컴퓨터를 생명체로 인식해 의사소통을 시도하려 할지도 모른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 ... ...
인류
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별은 4분의 3이 수소, 4분의 1이 헬륨으로 이뤄진 가스 공과 같다. 이 가스로 풍선을 채우면 가스는 풍선의 압력에 막혀 도망가지 못한 채 둥그렇게 모인다. 하지만 별을 이루고 있는 가스는 별의 온도가 수천∼수만℃라 팽창하는 압력이 매우 큰데 어떻게 뭉쳐 있는 것일까.사실 별은 가스가 도망가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우주로 진출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한
인류
는 새로운 터전을 찾기 위해 밤하늘을 샅샅이 뒤진다. 우주의 광활한 넓이를 생각한다면 건초더미에서 바늘 찾기보다 어려운 일이지만, 세계의 뛰어난 망원경을 모두동원하면 못 찾을 것도 없다. 지구와 같은 작은 행성은 거리에 비해 너무 어두워 모습을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 때문에 특허가 기술의 부익부 빈익빈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비판도 끊이지 않는다.
인류
가 존재하는 한 과학기술 연구와 그 결과물을 둘러싼 논쟁은 영원히 지속될 것이다. 기술은 누구의 것이며, 권리사용의 한계는 어디로 봐야하는 걸까. 대기업과 선진국에 집중된 과학기술의 개발 구도에서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건 넓게 말해 살아있는 생명을 지키고 존중하는 일이다. 생명의 건강을 돕고 나아가
인류
의 미래를 더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어떤 활동을 할 수 있을까. “대학교에서 논문을 쓰는 건 R&E 활동이고, 다른 활동을 시작해야 할 것 같구나. 네가 사는 지역에는 서울과 달리 그런 기회가 많이 있어. 지방에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리는
인류
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이곳과 저곳을 잇기 위해 만든 것이지만 실제로는 사람과 사람을 끈끈하게 이어준다. 더 길고 안전한 다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지금도 계속된다. 이때마다 수학은 최선을 다해 다리 건설을 돕는다.옛 다리에 깃든 조상의 지혜선조들은 개울에 징검다리를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발견되지 않았다. 반대로 비교적 젊고 금속 함량이 높은 별에서 행성이 많이 발견됐다.
인류
가 가서 살 수 있는 행성 후보를 선정하는 데 고려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행성까지의 거리다.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그곳까지 가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태양과 비교적 가까운 곳에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동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지구과학Q1. [민감성, 융통성] 21세기 과학계뿐 아니라
인류
전체의 가장 큰 화두는 지구온난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마다 기록을 경신해가는 최고 온도 기록과 길어지는 여름은 지구온난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해준다. 그런데 올해는 ... ...
노벨상이 최고의 상인가?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평소에 관심을 보인 분야다.또 노벨은 유언으로 발명이나 발견’ 처럼 실질적으로
인류
복지에 기여한 사람에게 상을 주도록 했다. 실제 물리학상을 보면 초기 18년 동안 실험물리학 분야에서만 수상자가 나왔다. 이론물리학은 1919년에야 막스 플랑크가 양자론으로 노벨상을 처음 받았다. 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