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악을 들으면 행복해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월 9일자에 게재했다. 도파민은 기쁨을 느끼게 하는 신경
전달
물질로 음식을 먹을 때 분비된다. 연구팀은 음악을 들을 때 도파민이 뇌의 어느 부분에서 나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성자단층촬영(PET)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 촬영을 동시에진행했다. 이 결과 사람이 음악을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CO)나 유독가스의 대명사인 황화수소(H2S)도 인체 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면서 신호
전달
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몸에 좋은 물질과 해로운 물질이 이분법처럼 나눠져 있는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발견은 생명체가 신비한 존재임을 또 다시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일관된 방향으로 자기소개서에 정리한다면 입학사정관에게 자신의 꿈과 열정을 충분히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환경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뭐였니?”“서울이 아닌 지방에 살다 보니까 자연을 좀더 가까이에서 접하고 살았던 것 같아요.”“그렇구나. 네가 사는 지역은 최근 들어 개발이 ... ...
기상천외 귀마개 스케이팅 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위에서 첫 번째).2. 귀마개를 놓고 와야 한다.1번 선수가 귀마개를 하고 2번 선수에게
전달
. 2번 선수는 탁자에 귀마개를 다시 놓고 3번에게 간다. 3번은 빈 탁자를 지나 4번에게 간다. 4번 선수는 탁자를 통과하면서 귀마개를 쓰고 5번에게
전달
. 5번 선수는 다시 탁자에 귀마개를 벗어 놓고 결승점을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고고하다.한반도의 위험을 상징하는 서해 5도의 아름다움은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
하고 있을까. 부디 이곳을 전쟁 없는 평화로운 곳으로 만들어 달라는게 아닐까. [❶ 우도에서 바라본 일몰. 서해 5도 중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섬이다. 붉은 석양이 바다까지 물들이며 신비롭고 처연한 ... ...
과학동아가 확 바뀝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대한민국 최고의 과학잡지 과학동아가 창간 25주년을 맞아 대변신을 했습니다. 앞으로 가장 빠르고 수준높은 과학뉴스로 가득한 잡지, 더 세련되고 아름다운 잡지, 더 재미있고 ... 영화는 물론 TV프로그램, 음악, 공연, 뮤지컬, 전시 등 대중문화 속의 과학 이야기를 재미있게
전달
합니다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론을 고안했다. 세포자동자는 자신이 만들어진 방법에 관한 정보를 자신의 생산물에
전달
한다는 점에서 사람의 유전메커니즘과 닮았다. 폰 노이만은 이 이론을 완결 짓지는 못했지만 생명의 논리적 구조를 탄소 유기체와 단순기계에서 해방시켜 후대 과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1987년 미국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는 사람들이 빨간 볼링공과 파란 볼링공을 각자 전후좌우 가운데 한 사람에게 임의로
전달
하는 모습을 그리면 된다. 그 결과 처음에 바로 옆에 있던 N극과 S극이 서로 떨어져 따로 움직이게 됐다. 바로 모노폴의 모습이다.지난해 10월 ‘사이언스’에는 프랑스와 독일 두 연구팀이 각각 스핀 아이스 ... ...
타짜는 타고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것을 사실을 밝혀내 ‘영국 왕립학회보’ 12월 8일자에 게재했다.MAOA유전자는 신경
전달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MAOA-L 유전자는 공격성향이 높아 ‘폭력배 유전자’라고도 불린다.연구팀은 국적이 다른 19~27세 남성 83명을 대상으로 140번의 모의투자 실험을 진행했다. 프리드먼 박사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세포벽에 붙어 여러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데, 이 마이크로RNA가 없으면 인슐린의
전달
이 차단돼 세포의 성장을 막는다. 김 교수팀은 이 과정에서 이 마이크로RNA가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견하기도 했다.이 연구는 사람의 성장 비밀과도 관련이 있다. 사람의 세포로 실험한 결과 miR-200이라는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