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T1R1과 T1R2가 동시에 발현하지는 않았다. 단맛과 감칠맛 정보는 별도의 경로로 미각중추에
전달
돼야 하기 때문이다.짠맛의 경우 나트륨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이온통로인 ENaC가 1984년 발견된 이래 많은 연구자들이 ENaC가 짠맛 수용체임을 입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은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날 수 있다. 반대로 태풍이 적게 발생하면 저위도 지역의 열에너지가 시베리아 기단까지
전달
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차갑게 발달한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평년보다 추운 겨울 날씨가 될 수 있다.물론 기후나 날씨와 연관된 변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태풍이 적게 발생한 것만으로 추운 겨울을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심해진다.학계에서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세로토닌 같은 뇌 속 신경
전달
물질과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우울증을 지속시킨다는 주장이 우세하다.전문의들은 “본인이나 주변 사람이 우울증이라고 인지했을 때는 되도록 빨리 병원을 찾아 상담과 치료를 받으라”고 조언한다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카르스텐 드 드루 교수팀은 자기 집단에 대한 이타심과 외부 집단에 대한 적대심에 신경
전달
물질이자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사이언스’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옥시토신은 여자가 아이를 출산한 뒤 많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모성을 불러일으킨다고 알려져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탱하는 것은 관절 주위의 인대와 근육뿐이다. 투수가 하체에서 상체로 이어지는 힘의
전달
이 자연스럽지 못한 상태에서 팔만 빨리 회전할 경우 팔과 어깨뼈 사이의 인대와 근육에 무리가 가서 부상 당할 우려가 높다.밸런스가 야구에서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문영진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었다는 것은 필자만의 생각일까. 도시도, 아름다운 백제의 향로도 가상공간을 통해
전달
할 수 있게 됐다. 비록 디지털이 만든 가상의 모습이지만 이런 가상현실이 만들어 줄 수 있는 문화산업, 즉 문화컨텐츠 산업의 영역은 분명한 현실이다. 모든 문화 소비자들에게 ‘디지털 타임머신을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 신호를 피부에 삽입된 수화기로 보내면(05) 수화기가 전기신호로 바꿔(06) 인공 와우로
전달
한다(07). 인공 와우의 전극이 전기신호를 받아 청신경을 자극해(08) 소리를 듣게 된다. - 과학동아 2005년 11월호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중 감각수용체의 모방감각수용체의 작동 원리를 모방한 ... ...
총상 위치 알리고 유아 돌연사 막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문이다. 전투 시에 군인이 총상을 입으면 총알이 뚫린 부분의 광섬유가 손상돼 신호
전달
이 끊긴다. 이를 통해 피격 부위를 알 수 있다. 부상자를 병원에 옮겼을 때 수술을 빨리 진행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로 줄인다.미래에는 어떤 전투복이 탄생할까. 전문가들은 개개인의 몸 형태에 맞게 크기를 ... ...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달라진다. 탄성률이 작아 변형에 대한 복원성이 떨어지는 매질일수록 지진파를 잘
전달
하지 못해 속력이 느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밀도가 같은 고체와 액체상태의 매질이 있을 때 고체는 변형의 종류와 상관없이 본래 모양을 되찾으려는 탄성을 보여주는데 반해, 액체는 전단응력처럼 부피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가능할까?사물의 모양이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눈의 망막을 통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전달
돼. 이 때 뇌는 자기도 모르게 이미 일상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과 비교해서 정보를 해석하지. 즉, 실제의 이 물체는 이럴 것이라는 선입견이 작용하면 착시가 일어나. 용되리가 입체로 보인 것도 머리를 보면서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