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식증도 호르몬에 영향 받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개발하는 데 우선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교수는 “옥시토신
수용
체 유전자가 출생 후에 불활성화되기 때문에 후성유전학과도 관계가 깊을 것”이라 덧붙였다 ... ...
세포의 분해력으로 내성 결핵균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결핵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정 비타민이나
수용
체를 세포에 투여해 자가포식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결핵균이 세포 기능을 손상시키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란 뜻이다.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 조은경 교수는 14일 오후 6시 30분 대전 ... ...
피부과 레이저기기로 문화재 복원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보통 바다에서 인양한 도자기는 오랜 시간 바닷속에 있었기 때문에 염화나트륨 같은
수용
성 염 결정들이 붙어 있다.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결정이 커져 도자기가 깨지거나 유약층이 벗겨지기 때문에 맑은 물에 일정 시간 담가두는 탈염과정을 거친다. 문제는 도자기 재질에 따라 염 결정 ... ...
수학자, 최고의 ‘신의 직업’으로 꼽혀
수학동아
l
2014.01.24
직업정보네트워크(Onet)의 자료에 근거해 조사한 결과다. 노동자들이 상사의 질책을
수용
하는 정도와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정도를 수치화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0부터 100까지 숫자로 표현한 것이다. 숫자가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낮음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 놀랍게도 스트레스가 가장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했지만 믿음을 뒤집기는 역부족이었다. 2000년대 들어 기본맛을 감지하는 미각
수용
체가 속속 발견되고 혀에서 맛이 어떻게 지각되는가가 분자차원에서 규명되면서 마침내 혀지도의 허상이 밝혀졌다. 설탕이나 소금 알갱이를 조금 집어 혀 부위별로 떨어뜨려보면 누구나 반증할 수 있는 명백한 ... ...
한약재 '현호색', 알고보니 통증 치료 특효약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유발한 실험쥐에 투여했다. 그 결과, 현호색에서 추출한 DHCB가 실험쥐의 도파민
수용
체 D2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해,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더군다나 이 물질은 장기 사용하더라도 내성이 생기지 않았다. 시벨리 교수는 “이 물질이 염증이나 신경성 통증 관련 약품 ... ...
상어 게놈 분석하니 면역계 진화비밀 풀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확인되기도 했다. 퉁소상어에게 2차 면역반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핵심 세포
수용
체를 만드는 유전자가 없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2차 면역반응이란 한 번 감염됐던 병원체를 면역계가 기억해 병원균이 다시 침입했을 때 더 빠르고 강하게 대응하는 것을 말하는데, 사람들이 각종 ... ...
'천의 얼굴'을 가진 식물, 대마초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THC는 CB1이라는
수용
체에 붙어 생화학작용을 일으키는데, 프레그네놀론 역시 CB1
수용
체에 경쟁적으로 달라붙어 THC의 효과를 낮춘다. 피아자 교수는 “프레그네놀론이 물에 잘 녹지 않고 복용이 힘든 만큼 대마초 중독을 막기 위한 치료제로 당장 쓰이긴 힘들다”고 설명했다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나누어지는데, 이 유전자가 만드는 MC1R 단백질은 멜라닌생성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호르몬
수용
체다. 즉 알파-MSH라는 호르몬이 MC1R에 달라붙으면 멜라닌생성세포가 활동을 개시해 유멜라닌을 많이 만들어낸다. 따라서 부모로부터 둘 다 멀쩡한 유전자를 받은 E/E형이나 한쪽만 멀쩡한 걸 받은 E/e형인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3.12.31
때문에 이를 담당하는 신경회로를 분석했다. 그리고 PDF와 NPF라는 신경세포 단백질과 그
수용
체들의 조합에 의해 LMD가 조절됨을 밝혀냈다. 이에 관여하는 신경세포는 초파리 뇌의 10만여 개 세포 중에서 18개에 불과했다. 김우재 박사는 “수컷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는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