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실을 가장한 거짓 '시모니니' 여전히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문서를 일반 대중들이 순순히 받아들였다는 점은 영 마뜩잖다. 하지만 외부 정보를
수용
하는 ‘뇌’의 특성을 좀 더 과학적으로 들여다보면 충분히 수긍이 간다.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안나 아브라함 박사팀은 2009년 관련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달라붙으면 연쇄작용이 일어나 암 세포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이전까지는 특정 단백질
수용
체가 T세포의 눈을 가려 암 세포를 공격하지 않았다. 암 면역치료법은 우리 몸에 있는 면역세포를 조정해서 암 세포를 인식해 공격하는 기법이다. 특정 항체로 만든 이필리뮤맵, 피딜리주맵 등을 ... ...
‘획기적인 암 치료법’ 올해의 과학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면역세포 ‘T세포’(회색)에 있는
수용
체 단백질(보라 색)을 항체(갈색)가 차단하자 연쇄작용이 일어나 암 세포를 공격한다. - 사이언스 제공 획기적인 암 치료법이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로 꼽혔다. 과학 분야 권위지인 ‘사이언스’는 20일 올해의 10대 과학뉴스를 발표하며 ‘암 면역치료법’을 ... ...
바쁜 연말, 짬짬이 '멍' 때려야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수 있다는 말이다. 신 교수는 "이동 중 음악을 듣는 행동조차 뇌 입장에서는 정보를
수용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뇌가 쉬지 못하면 충동을 억제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관장하는 전두엽의 기능이 떨어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뇌 전문가들이 '무념무상'을 최고의 ... ...
살찌면 입맛도 바뀐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이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면, 이번 연구는 맛을 느끼는 첫 단계인 혀의 미각
수용
체 반응을 분석한 것”이라며 “맛을 느끼는 세포가 어떻게 영향을 받고 이 세포들이 정상적으로 발현되는 방법을 알아낸다면 비만에 대한 새로운 처방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유리에도 전기가 흐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투과되는데, 산화실리콘 막에서도 막 안의 양성자가 이동했던 것. 이 양성자와 산성
수용
액에서 들어온 수소이온을 매개로 해서 실리콘 웨이퍼의 전자가 튀어나와 막을 타고 흘러 부도체인 산화실리콘이 도체의 성질을 띠게 되는 원리다. 정 교수는 “산화실리콘은 흔히 ‘석영’이라 불리는 ... ...
왕의 숫자보다 많은 금관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전혀 달라 두 문화의 공통점을 거의 인정할 수 없을 정도이다. 신라는 왜 중국문화의
수용
을 거부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견지했을까하는 질문이 있는데 이는 두 말할 나위 없이 신라는 독자적인 문화를 영위할만한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중국과 전혀 다른 풍습과 문화를 가진 북방기마민족이 ... ...
신종AI 변형바이러스에 사람이 처음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특정
수용
체에 달라붙지 못한다. 그런데 변종 H6N1은 돌연변이 단백질로 인해 이
수용
체에 달라붙어 사람을 감염시킨 것이다. 바이러스의 출처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대만에서 키우는 가금류에서 발견되는 H6N1과 매우 유사해 여성의 집 인근 가금류 농장을 ... ...
집은 기다림과 자기 철학의 공간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내가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는 전문가인 건축가의 조언을 받아들인다. 물론 무조건적
수용
이 아니라 자기 철학이 건축가의 전문성에 녹아들 수 있도록 말이다. 건축주 송승훈 선생은 이일훈 선생의 채나눔 철학을 이렇게 받아들이고 있다. “집 분위기는 이웃에 위세부리지 않고, 주변을 비웃지 ... ...
"일본 천문학, 한국 영향 많이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미야지마 박사는 일본이 고대에서 근세에 이르기까지 어떤 방식으로 한국의 천문지식을
수용
해 발전시켜 왔는지 소개했다. 과거 일본은 중국, 한국 등에서 많은 천문학 지식을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스카 시대에 백제에서 역박사를 파견했고, 견당사가 들여온 대연력은 헤이안 시대에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