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뉴스
"
순간
"(으)로 총 2,9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절벽에서의 추락’ 절묘한 착시 사진
팝뉴스
l
2017.04.21
사람이 떨어진다. 다른 사람이 손을 뻗어보지만 그를 잡을 수는 없다. 드라마틱한 위기의
순간
을 포착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것은 착시 사진이다. 안전하게 촬영한 사진을 90도 돌려놓은 것은 불과하다. 아래 사진이 실제 상황을 솔직하게(?) 드러낸 이미지다. 벼랑이 아니라 바닥에서 촬영했다는 ... ...
도시 하수구에서 나온 악어
팝뉴스
l
2017.04.20
제공 악몽의
순간
이라고 할 수 있겠다. 평범한 도시다. 어른들도 강아지도 아이들도 마음 편하게 산책할 주택가로 보인다. 그런데 하수구에서 악어 한 마리가 기어 나온다. 아주 위험할 수도 있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사진은 미국의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 19일 공개된 것이다. 뉴올리언스에서 ... ...
동물 입양, 숨은 그림 찾기 캠페인 광고 ‘인기’
팝뉴스
l
2017.04.20
올’이 제작한 위 이미지는 보는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또 숨은 그림을 찾은 그
순간
광고의 메시지도 수용하게 된다. 광고는 총 3종인데 개 이외에도 고양이와 토끼의 이미지를 숨겨 놓은 것들이 있다. 화제의 ‘동물 입양 권장 캠페인 광고’는 뛰어난 아이디어라는 평가와 함께 해외 디자인 ... ...
오토바이 탄 남자를 공격한 뱀
팝뉴스
l
2017.04.19
있다. 뒤에서 차량의 블랙박스가 상황을 촬영했다. 여유롭게 라이딩을 즐기는 남자가
순간
긴장을 했다. 긴 뱀이 도로를 건너고 있었기 때문이다. 오토바이 운전자가 긴장하며 방향을 틀려는
순간
, 뱀이 튀어 올랐다. 뱀은 남자를 물려고 했던 것이다. 바닥에 붙어 있던 뱀은 아주 빠른 속도로 사람을 ... ...
수천 배 빨라진 메모리, 빛으로 작동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19
수 있다. 또 빛의 각운동량 방향을 조절해 수 피코 초(ps·1ps는 1조 분의 1초)라는 찰나의
순간
에 자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기존 스핀메모리는 빨라도 수 나노 초(ns·1ns는 10억 분의 1초)의 속도로 조절하는 수준이었다. 최 연구원은 “자기장이나 전류가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스핀 ... ...
요가 여성의 발에 앉은 새
팝뉴스
l
2017.04.18
요가 하는 여성에게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일어났다. 이 여성이 한쪽 발을 높이 치켜 든
순간
하얀 새가 날아와 그 발 위에 앉은 것이다. 여성은 놀란 듯이 돌아본다. 영상은 페이스북에 공개된 후 해외 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해외 네티즌들은 코미디 같은 상황이라고 말한다. 또 어떻게 이런 일이 ... ...
[카드뉴스]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1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에 앉히는 것이 좋습니다. Q10. 에어백은 안전띠 없이는 위험하다고요? 에어백은
순간
적으로 큰 힘으로 부풀기 때문에 체격이 작거나 무게중심이 남자보다 아래에 있는 여성은 좌석 아래 공간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습니다. 창문이 열려 있다면 밖으로 튕겨 나갈 수도 있어 더욱 위험합니다. Q1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힘든 냄새인가보다. 사실 필자 역시 냄새 때문에 꺼리는 음식이 있다. 바로 굴로, 씹는
순간
굴 특유의 향기가 올라오면 그 강렬함에 머리가 어질어질해진다. 예전에는 작은 걸 골라 초고추장을 듬뿍 찍어 억지로 먹었지만 남 눈치 볼 일이 없어진 지금은 그냥 안 먹는다. 보통 횟집에서 회 나오기 ... ...
말이 악어를 공격하는 장면 ‘포착’
팝뉴스
l
2017.04.17
튀어 오르며 말의 다리를 물려고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영화의 한 장면 같은
순간
을 지켜본 관광객들은 짧은 비명과 탄성과 지른다. 전광석화와 같은 공격 후 말은 동료 곁으로 돌아왔고, 악어는 반대 방향으로 피신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상향식연구 확대 운동은 이제 시작…과학자들 함께해주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7
대형 국책과제로 돈이 쏠리고 소형 자유공모과제의 비중은 줄어들어서 그래요. 어느
순간
‘이대로 가면 대학의 순수연구 토대가 무너지겠구나’ 하는 절박감이 들었어요. 젊은 연구자들이 연구비에 목매느라 독창성 있는 연구를 못하는 걸 보는 게 제일 속상했어요. 정부를 비판하고 나서면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