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없을 거라던 관련 연구자들의 예상이 틀린 것이죠.” 그 뒤 최 교수팀은 빛의 자극이
신경
신호로 전달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G단백질의 G알파 단위체의 조각이 옵신에 결합된 상태의 결정도 만드는데 성공했다(9월 25일자 논문). 옵신에 G알파 단위체가 붙은 활성 상태인 옵신의 구조는 단위체가 ... ...
아침잠 못 자면 ADHD 심해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문에 0교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거죠.게다가 0교시를 하느라 아침밥을 먹지 못하면
신경
전달물질을 만드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같은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어요. 잠이 보약이라는 옛말이 청소년들에게도 딱 맞는 것 같습니다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시세포에 빛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퇴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기의 망막에 잘 생기는
신경
모세포종의 경우 너무 늦게 발견하면 암 덩어리를 제거해도 시력을 되찾지 못한다. 다만 백내장처럼 후천적으로 시력을 잃었을 때는 망막의 시세포가 정상이기 때문에 수술과 같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 ...
평가기준 분석이 논술 준비의 핵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훈련이 필요하다. 인과 관계 논리는 상당히 중요하므로 오류나 비약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개별 과목의 소재 간 통합은 자연계논술의 핵심이며 실제로 이 평가 항목은 상당한 변별력을 갖는다. ▶창의력, 사고를 확장하라 이미 내린 결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유형, 주어진 문제에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명령을 내리는 뇌 같은 중앙
신경
계가 고도로 발달됐을 수 있다. 하등한 플라나리아도
신경
세포가 머리 부분에 모인 원시적 뇌가 있다.그런데 외계생명체는 지구생명체와 싸울 수밖에 없을까? 그들은 지구인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순 없나? 아마 SF영화에서 종종 이런 설정을 끌어들이는 이유는 ... ...
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정재승 교수>KAIST에서 물리학 전공으로 학부, 석사,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예일대 의대
신경
정신과 연구원, 콜롬비아의대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부교수로 일하고 있다. 뇌의 의사결정 과정을 물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관심이 있으며 최근 정신 질환자들의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자타공인 낚시계의 신동과 떠오르는 샛별이라는 두 아이가 겨루는 결승전인 만큼 팽팽한
신경
전이 벌어지는 것이 당연지사. 특별히 공정한 심사를 위해 닥터고글이 심사위원으로 초대되기까지 했다. 그런데 갑자기 다나카 군이 소리를 지르며 난리법석을 피우는 것이다!“강태공 저 녀석이 저를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말했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황금택 교수도 “아질산이 없는 육가공제품은 강력한
신경
독소를 만들어 식중독을 일으키는 보툴리누스균에 감염될 수 있다”며 “만일 이런 일이 생길 경우 첨가물을 넣지 않은 게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육제품은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데 아질산나트륨은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센서는 환경호르몬 등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퇴행성
신경
질환을 일으키는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이 교수가 이렇게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내놓는 데는 이유가 있다. 바로 학문간 융합이다. 이 교수가 이끄는 나노공정연구실은 나노기술과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원소주기율표 전체를 꿈에서 완성했다.● 노벨상 수상자인 오토 로위 또한 꿈을 통해
신경
의 신호 전달이 화학물질로 이뤄진다는 이론을 완성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꿈에서 자신이 씨름하는 문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으면 그것을 기록하려고 침대 곁에 늘 펜과 노트를 두고 자는 습관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