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기능을 상실하거나 파괴된다. 핑크1이 없는 초파리는 정상 초파리와 비교했을 때 도파민
신경
세포 수가 파킨슨병 환자처럼 줄어드는 현상이 관찰됐다.밤낮으로 초파리를 관찰하던 연구팀은 핑크1 유전자가 없는 초파리가 또 다른 파킨슨병 유전자인 ‘파킨’(Parkin)이 없는 초파리와 놀라울 정도로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넣는다(1). 수정란(2)이 발생해(3) 성체가 된다(4). 여기에 형광을 비추면 GFP가 만들어진
신경
세포에서녹색 빛이 나온다(5).클로닝, 클론*어떤 생명체의 게놈에서 특정 유전자를 찾아내고 분리해 박테리아나 효모 같은 미생물에 옮기는 과정을 클로닝(cloning), 좀 더 정확히는 분자 클로닝이라고 한다.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벌어들이는 우울증 치료제 말야.이 ‘프로작’이라는 알약을 먹으면 세로토닌이라는
신경
전달물질 양이 늘어나. 세로토닌은 대뇌에서 분비되는데, 우리 몸에 세로토닌 양이 늘면 행복해지지. 반대로 세로토닌이 줄면 사회성이 떨어지고 만사가 귀찮아져. 근심걱정은 많아지고 충동적인 성향도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센서는 환경호르몬 등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퇴행성
신경
질환을 일으키는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이 교수가 이렇게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내놓는 데는 이유가 있다. 바로 학문간 융합이다. 이 교수가 이끄는 나노공정연구실은 나노기술과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확산에 의해 다음 뉴런의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고, 도파민이 수용체에 결합된
신경
세포는 스스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 의해 도파민이 자극을 전달하면 뇌에서 긍정적인 감정 반응인 쾌감이 생긴다. 인간은 도파민을 더 많이 분비하는 쪽으로 행동하는데 도박 중독도 이와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원소주기율표 전체를 꿈에서 완성했다.● 노벨상 수상자인 오토 로위 또한 꿈을 통해
신경
의 신호 전달이 화학물질로 이뤄진다는 이론을 완성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꿈에서 자신이 씨름하는 문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으면 그것을 기록하려고 침대 곁에 늘 펜과 노트를 두고 자는 습관이 ... ...
[
신경
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자신이 턱을 당기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의식하지 못했다. 이는 턱이나 발성기관에 있는
신경
체계가 발음을 부정확하게 만드는 움직임을 감지해 스스로 교정한다는 뜻이다.맥길대 언어치료학과 셰리 바움 학장은 “발성기관의 위치를 조절해 발음을 교정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정도로 전자소자를 작게 만드는 나노전자기계시스템(NEMS) 기술을 활용하면 된다.뇌와
신경
에 해당하는 논리회로, 시각·청각 기능을 담당하는 각종 센서, 팔다리 역할을 할 기계장치, 그리고 이들을 유기적으로 움직이게 할 구동기를 갖춘 나노로봇은 약물을 싣고 병사의 몸속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 ...
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해외어학연수를 갈 때도 되도록 한국 사람이 없는 곳을 찾으라고 조언하는 이유다. 2003년
신경
과학 분야 저널인 ‘대뇌피질’에는 외국어 습득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을 잘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한국에서 프랑스로 입양돼 성장한 어른 8명을 대상으로 입양 뒤 프랑스어 습득 과정을 연구한 ... ...
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언어심리학과 인지
신경
과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고려대 부설 지혜과학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외국어 습득은 얼마나 열성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냐에 달려 있으므로 나이가 들어서 배울 수 없다고 포기하지 말라고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