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발사된 이후 성공적으로 활약하고 있는 자외선 관측위성이다.은하에서 1억 살은 갓난아기
옆
에서 지켜보던 아이가 핀잔을 준다. “아빠, 1억살짜리 아기가 어딨어?” 천문학자들은 어떻게 나이가 수억 살인 은하를 아기 은하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일까?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빅뱅의 순간을 거쳐서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왔답니다. 누나의 헌신적인 치료로 지금은 아주 건강한 피부를 가지고 있지요. 참!
옆
에서 소개한 촐랑이가 은하의 아기랍니다. 애완동물이 아닌 반려동물“도둑고양이라고 부르지 말고 길거리에 사는 고양이, 줄여서‘길냥이’라고 불렀으면 좋겠어요.”김성은 누나는 길거리에 사는 고양이가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막대를 뜻하는 말이다. 옛날 유럽의 선술집에는 손님의 말을 매어 놓기 위해 건물
옆
에 말뚝을 박고 가로 막대를 달아놓았다고 한다. 이런 데서 유래한 술집이 바다.지난 1월 10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멋진 은하 사진이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금액으로 약 4억원에 달했다. 당시 해일이 임원항의 방파제를 넘어 들어와 선박이 건물
옆
까지 들어왔고, 건물의 1층이 침수되기도 했다. 네번째는 1993년 동해의 일본 쪽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동해안 일대에 발생한 해일로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약 4억여원의 재산손실을 가져왔다.이처럼 ... ...
과천에 문 여는 과학 놀이터 -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과학관에서 사용되는 전기의 일정량을 태양에너지로 충당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양
옆
으로 막힘이 없어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탁 트인 구조를 도입했고, 동시에 과학관 앞에는 호수 같은 수장고를 배치해 과학관의 열기를 식힐 수 있는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을 도입했다.본관에는 ... ...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동작이 더욱 부드럽다.휴보는 최대 32cm의 보폭으로 최고시속1.25km로 걸을 수 있다. 또
옆
과 뒤로도 걸을수 있으며 손가락 5개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있다.한편 음성을 인식하고 합성할 수 있어 기본적인 대화도 가능하다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나스카판과 함께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연달아 화산폭발이 일어나면서 생긴 화산섬들이
옆
으로 이동하면서 다음 생길 화산섬에게 자리를 내준 셈. 갈라파고스 제도는 이렇게 탄생했다. 섬 곳곳에서 발견되는 산호 조각은 이곳이 먼 옛날 바다 속에 잠겨있었음을 말해준다.따라서 갈라파고스 제도의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해부는 신분이 낮은 이발의사(理髮醫師)에게 맡기고 교수 자신은 직접 집도하지 않고,
옆
에서 갈레노스 등의 고전 강석(講釋)만 하는 실태였다 베살리우스는 36년 고향에 돌아와 인체를 해부할 귀중한 기회를 얻었고, 또 비합법적으로 입수한 유골을 연구하는 등 해부학에 숙달해졌다 37년 당시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내가 그 사람에 대해서 상대적 공간에 있다고 생각한다.그렇다면 시간은 어떤가? 나와 내
옆
에 있는 사람의 시간이 상대적일 수 있는가? 사람마다 시간이 다르다면 이 세상이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겠는가? 시간이 상대적이라는 생각은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절대적인 양이어야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받쳐주고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신경교세포가 더 많으며, 뇌의 위쪽 가운데 부분과 양쪽
옆
부분을 가르는 커다란 주름인 실비우스 주름이 보통 남성들보다 커 두정엽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들이 알려졌다.뉴욕타임스는 1999년 실비우스 주름 연구 결과를 인용해 아인슈타인의 뇌구조가 일반인과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