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나타난다. 밝은 별
옆
에 있어서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천체망원경으로는 제타성 바로
옆
에 나뭇잎처럼 펼쳐진 NGC 2024 성운이 뚜렷이 보인다. 이 성운을 자세히 보려면 별빛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타성을 시야 밖에 두고 관측하는 것이 좋다. 이 성운의 모습은 마치 나뭇잎처럼 생겨서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는 원래 도형인 A4와 닮은 도형이다. A4는 렙-2 도형인 것이다.6개의 정삼각형을 모아
옆
그림과 같이 만든 도형은 스핑크스로 불린다. 이 도형을 똑같은 크기의 스핑크스 4개로 분할할 수 있을까? 즉 스핑크스는 과연 렙-4 도형일까? A렙타일 도형을 분할하는 문제는 상당히 기교적인 경우가 많기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되어 있는데 바람이 벽면을 타고 흘러나간다. 또 위로 올라갈수록 산정상처럼
옆
부분이 깎여 있어 바람에 의한 충격을 줄인다.두바이빌딩도 건물의 높이와 방향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바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다. 높이가 올라갈수록 바람은 빨라진다. 초고층 빌딩의 경우 고층일수록 유리를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자라면서 한쪽 안구의 골격이 녹아 내리면서 눈이 돌아가고 좌우 피부색이 달라지면서
옆
으로 눕게 된다. 다만 눈이 돌아가는 방향이 오른쪽이냐 왼쪽이냐는 종에 따라 다르다.그렇다고 넙치처럼 눈이 돌아가는 게 바닥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유일한 전략은 아니다. 몸의 좌우대칭은 그대로 유지하되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보이는 은하계 성운의 하나 나사선성운〔渦狀星雲〕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이므로 이것을
옆
에서 보면 방추상으로 보인다이런 위치에 있는 은하계성운은 머리털자리의 NGC 4565 등이 대표적인 별자리이다방추충의 화석을 다량 함유하는 고생대의 석회암 푸줄리나 석회암이라고도 한다지질시대의 ...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다. 지하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석유 몇방울 또는 공기방울은 바위 사이를 시냇물처럼
옆
으로 이동하다가 단층을 만나면 단층면을 따라 위로 올라온다. 이 석유가 이리저리 움직이다 한곳에 모이면 우리가 찾는 유전이 된다.석유가 한 곳에 모이려면 덮개암이라는 매우 치밀한 돌이 조개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위에서 꽃가루가 발견됐으며 폐의 상태로 보아 폐질환을 앓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라
옆
의 영화관에서는 각 문화권에서 바라보는 죽음에 대해 보여준다.전시관 구석구석에는 살아 있는 동물과 식물이 있다. 개구리, 올챙이, 계룡산 계곡에 사는 작은 물고기, 여러 허브식물들이다. 알로 유명한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바로 12월 6일 금성과 화성이 약 1° 범위까지 접근하는 것이다. 12월 10일에는 두 행성의
옆
에 달이 위치한다. 이 무렵 화성의 밝기는 1.7등급으로 다소 어둡다. 하지만 화성 특유의 붉은 빛이 금성의 노란빛과 대조를 이루며 매우 아름다운 광경을 연출한다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우리 눈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컵의 그림이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수조
옆
에서 관찰하면 물속으로 전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해 컵의 그림이 다시 나타나는 것이다.따라서 바깥의 컵 구멍을 막고 있던 손가락을 떼 컵 사이의 틈으로 물이 들어오면 수조 속의 빛이 컵 사이의 물까지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결합하면 뇌의 아랫부분에 있는 후각구로 신경 신호를 보내고 이곳에서 다시 뇌의 앞과
옆
에 있는 후각 영역으로 신호를 전달해 뇌가 냄새를 인식하게 된다. 후각장애 유전자 치료 기틀 마련시각과 후각을 비교해 보자. 우리는 수많은 색깔을 볼 수 있지만 실제로 시각 세포가 느낄 수 있는 색깔은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