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대의 대형 버스들이 있었는데….‘이번에도 뭐가 있을 것 같아!’나는 행선지도 모른
채
무작정 차에 올랐다. 버스는 시카고 외곽을 벗어나 30분이나 넘게 달려 어느 허름한 공장 앞에서 멈췄다. 그 안에는 공장을 개조해 만든 공연장과 한 무리의 과학자들이 있었다. 그리고 내가 보게 된 것은…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정밀유도제어시스템을 검증한 적이 없다.대부분 탄두는 재돌입비행체 내부에 놓인
채
로 미사일에서 분리된다. 다수의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재돌입비행체를 동시에 탑재하기도 한다. 사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탄두의 소형화, 경량화는 중요하다. 핵탄두의 탑재는 더욱 어려운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광주과학기술원 고등 광기술연구소(APRI). 방진복을 갈아입고 방진모를 뒤집어 쓴
채
에어 샤워를 하고 작은 실내체육관만 한 건물에 들어 서자 저 멀리서 초록빛 레이저가 눈에 들어온다. 이 건물은 지난해 11월 3일 고등광기술연구소에 건립된 극초단 광양 자빔 특수연구동이다. 먼지 하나 없이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아빠가 죽었던 것과 똑같은 암에 K가 걸린 것이다. K에게는 앞으로 살 날이 200일도
채
남지 않았다. 자신이 떠나면 홀로 남겨질 크림…. K는 크림 곁에서 평생 함께 할 남자를 찾기로 한다.메디컬 평점 ★★★☆☆ 말기 암환자의 못다 핀 사랑영화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는 사랑과 이별을 그린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 등장했다.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는 자동차 관련 안전 규정이 만들어진 지는 50년도
채
되지 않는다. 자동차에 안전기술을 도입하면 사고가 일어날 때 다치거나 죽는 비율을 줄일 수 있다는 인식이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과거에는 지금처럼 자동차도 많지 않았고 운행속도도 빠르지 않았다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번개를 사진에 담으려면 광각렌즈(시야가 넓은 렌즈)를 하늘로 향하고 조리개를 열어둔
채
번개가 ‘걸려들기’를 기다려야 한다. 렌즈 시야가 넓을수록 번개가 걸려들 확률은 높다. 하지만 그만큼 번개가 전체 화면에서 작게 찍히기 때문에 번개를 자세히 담기는 어렵다. “만약 번개가 치는 순간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더 민망스런 족속들 있다/ 그들은 자기들이 만든 소라고둥 껍질 속에 들어앉은
채
누군가에게/ 자기들을 하늘나라로 극락으로 데려다 달라고 빈다”주꾸미를 주인공으로 한 한승원 작가의 시다. 오랜 세월 변함없이 사랑하고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알을 돌보고 생을 마감하는 주꾸미들이 미련한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디지털 소자’ 연구사실 박 교수는 나노기술을 응용한 광자 연구에 뛰어든 지 2년이
채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연구논문에 이름을 올릴 수 있게 된 건 그의 선견지명 때문이다.박 교수는 본래 광통신 시스템을 연구했다. 특히 1997년부터 2002년까지는 광증폭기 연구에 매진했다. ... ...
올림피아드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효과하지만 일부에서는 이공계 인재의 조기발굴이라는 올림피아드의 순기능을 무시한
채
졸속으로 처리하는 이번 조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20조 원에 이르는 전체 사교육 시장에서 1조 원도 되지 않는 올림피아드 시장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이 전체 사교육을 조장하는 뇌관으로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매드슨의 동명소설이 원작이다. 영화는 원작의 과학적 탐구정신을 고스란히 배제한
채
코믹한 괴기영화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원작소설에는 작가의 깊은 생화학 지식이 담겨 있다. ‘나는 전설이다’는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미시세계에 대한 공포를 생물학적 재앙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소설은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