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더뎌진 지구온난화, 영화 ‘투모로우’ 재현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영국 사우스햄튼대 시브렌 드레파우트 교수는 AMOC가 붕괴될 경우 대기와 해양의 변화를
컴퓨터
로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15~20년간 지구기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레파우트 교수는 “시뮬레이션 결과 AMOC가 붕괴되면 대기가 빙결되면서 내뿜는 방출열이 해양으로 흡수된다”며 “최근 1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화성이라면 이 순간이 얼마나 설렐까.3 무인기 조종무인기를 날리기 위해 부지런히
컴퓨터
를 조작하고 있다. 사람마저 가지 못하는 험한 지형에는 무인기가 제격이다.차가운 땅과 생명의 씨앗얼어붙은 북극의 땅에도 잘 살펴보면 미생물이 살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 아무것도 없는 화성의 동토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얻은 세균과 DNA를 비교했다. 그 결과 각각의 키보드에서 모은 세균의 DNA는 해당
컴퓨터
소유자의 손에 사는 세균의 DNA와 가장 유사했다.
컴퓨터
마우스와 손바닥에서 채취한 세균을 비교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9개의 마우스에서 채집한 세균과 마우스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얻은 세균의 DNA, ... ...
우주비행사 비서 로봇 ‘아일라’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각종 센서와 통신장치가 탑재돼 ‘머리 쓰는 일’이 가능하다. 아일라는 카메라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람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학습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을 모방한 실험 공간에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연구진은 “아일라에 적용한 동작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드러나자 극적으로 다시 부활했다. 느린 빛을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는 양자
컴퓨터
와 양자통신이다. 필자가 연구하고 있는 광주과학기술원 광양자센터가 주목하는 것은 느린 빛과 소리의 결합이다. 전자기파와 반응하는 기존의 빠른 빛과 달리, 느린 빛은 음파에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컴퓨터
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선 코볼(COBOL)이나 포트란(FORTRAN), C 언어 같은 고급언어를
컴퓨터
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꿔줘야 한다. 이 과정에서 번역기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컴파일러다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금까지 세상에 없었던 ‘꿈의 재료’ 만들기에 도전하고 있다. 이론 화학자들이
컴퓨터
로 계산해서 예측한 ‘초박막 다이아몬드 필름’과 ‘음의 곡률을 갖는 탄소 소재’ 등을 합성하는 것이다.초박막 다이아몬드 필름은 두께가 원자 한 층 정도인 1nm(나노미터·10억 분의 1m)에 불과한 소재로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만든 새 날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이용했습니다.복잡한 수학 모형은 대부분 슈퍼
컴퓨터
를 이용하지만 무어 교수는 일반
컴퓨터
를 이용했습니다. 계산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어 이용한 겁니다. 연구팀은 날개의 강도에 따라 회전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인 추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모블로는 현재까지 총 일곱 가지 콘텐츠를 갖췄다. 대표 콘텐츠인 ‘블록메이커’는
컴퓨터
화면 속 그림과 똑같이 블록을 쌓는 게임이다. 3D 설계도를 이리저리 돌려 보며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 지각 능력을 기르는 데 좋다. 과제를 수행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자동으로 측정해 쌓기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다니는가. 얼핏 보기에 생물보다는 수학이 중요해 보인다.사실 나는 대부분의 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낸다. 이 분야에서 수학은 필수다. 나는 생물학을 공부했지만, 이 분야에서는 통계와 수학에 익숙해지는 게 ‘매우매우(extremely)’ 중요하다.아메리카인의 기원에 대한 논란이 유독 시끄러운 것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