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궤도가 어지럽게 얽히면서 서로 충돌해 부서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쌍성계에서도 암석으로 된 지구형 행성이 태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2개는 모자라… 태양 4개 뜨는 사성계한술 더 떠 태양이 3~4개 되는 기이한 외계행성도 속속 ... ...
- [Fun] 한국형 아두이노, ‘오렌지보드’출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오픈소스 하드웨어다. 아두이노만 있으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손쉽게 만들 수 있어서, 컴퓨터 마니아들 사이에서 꽤 인기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나온 대부분의 아두이노는 해외에서 만든 것이어서 국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한국형 아두이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래서 과학동아몰에서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않도록 잡아 주는 단열재로 쓰이기도 했지요. 이런 특징은 단점이 되기도 했어요. TV나 컴퓨터 같은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면 열이 발생하는데, 제품을 감싸고 있는 플라스틱이 열을 밖으로 내보내지 못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제품이 지나치게 뜨거워졌거든요.김진상 교수팀은 고분자 사슬을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적절한 위치에서 산 접기 또는 계곡 접기를 해야 한다. 이때 수학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단한 접기는 수학자들이 직접 위치를 계산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 문제를 살펴보자.[아이비 잎사귀 만들기➊ 종이로 사진과 같은 아이비 잎사귀를 만들려고 한다. 이때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통째로 베낀 그림인지 한 번에 알아내는 방법이 있어. 미국 다트무스대 응용수학 및 컴퓨터공학과 해니 파리드 교수팀은 그림 속 사물과 사물, 붓칠과 붓칠 간의 거리 등 여러 가지 값을 가지고 수학모형을 만들었어. 연구팀은 네덜란드 화가 피테르 브뢰헬이 그린 그림에 이 수학모형을 적용했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믿음직한 소프트웨어가 만드는 안전한 세상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문법오류를 제거하고, 필요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마치 백신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바이러스를 잡아낸 뒤 치료까지 해주는 것처럼 자동화돼 있어 편리하다.프로그램 내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는 콘콜릭(Concoli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가 처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좀더 정밀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극저온 실험이나 초전도체를 이용하는 실험, 양자컴퓨터와 핵융합연구, 금속 합성 실험 등이 좋은 사례죠.”지금 기술로 볼츠만 상수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가 음향기체온도계다. 온도가 달라지면 소리의 속도, 즉 음속이 달라지는데 이 성질을 ... ...
- [수학뉴스] 글을 평가하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컴퓨터가 처리 가능한 항목을 빠르게 점수를 매기면, 교사는 글을 쓰게 된 이유처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는 문제에 더 집중해 지도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한편에서는 이 소프트웨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프로그래머가 입력해 놓은 지시에 따라 더하기와 ... ...
- [수학뉴스] 소프트웨어로 날다,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평소 만들고 싶었던 게임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이 있나요?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을 소프트웨어로 이뤄보면 어떨까요? 이 대회는 청소년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소프트웨어로 나타내는 대회예요. 개인 또는 2~3명이 한 팀을 이뤄 참가할 수 있어요. 예선에서는 지난 8월 31일까지 공모한 아이디어에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감수성계수 사이에서 심리적인 동요가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배 교수는 이 모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 중독이 되기 전과 후의 심리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중독 전에는 주기적인 패턴을 보이지만, 중독된 뒤에는 일정한 규칙 없이 혼란스러웠다. 특히 통제계수가 작은지(통제를 못함) 큰지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