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지방분해효소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햇빛에 존재하는 보랏빛은
뇌
에 있는 빛수용체를 통해 열생성 반응을 억제하고 파란빛은 지방조직에 있는 빛수용체를 통해 촉진하는 상반되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 두 빛의 파장 차이가 크지 않음을 생각하면 꽤 정교한 메커니즘임을 알 수 ... ...
약물 효과 없는 우울증 환자 초음파
뇌
수술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약물병합치료와 전기경련치료(ECT)에도 증상 호전이 없었다. 우울 증상을 일으키는
뇌
의 내포전각 부위 한 곳에 초음파를 집중시켰다. MRI를 통해 치료과정 동안 실시간으로 살피면서 1mm 이내 오차 범위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모두 수술에 성공했고, 수술 다음날 일상생활로 복귀했다. 수술 ... ...
똑똑한 아이로 키우려면 30개월까지는 푹 재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아기를 깨우면 안 된다”며 “30개월을 넘기면서
뇌
발달이 중단되고 렘수면의 역할이
뇌
의 유지와 복구로 바뀌면서 수면의 양도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 ...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2030년 사람
뇌
와 AI 잇는 인터페이스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30년에는 인간의
뇌
를 인공지능(AI)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나올 것입니다. 인간의
뇌
는 AI와 만나 더욱 뛰어난 지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발명가이자 작가, 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은 18일 매일경제신문이 개최한 ‘제21회 세계지식포럼’에서 대담자로 나서 기술의 진보와 ... ...
이진형 스탠퍼드대 교수 “보물찾기 의존 벗어나 공학적 접근해야 의·생명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이해는 부족했다. 이 교수는 “현재 두
뇌
기능 회로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뇌
전증을 치료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세포 및 유전자치료법을 선별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대상 질환을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 등으로 넓히고 있다”며 “환자 별 맞춤 치료법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후유증 의외로 오래 간다
2020.09.15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고 16%가 여전히 피로하다고 밝혔다. 이런 증상은 근육통성
뇌
척수염(ME)으로도 알려진 만성 피로 증후군과 유사하다. 의료계는 이 병을 정의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고군분투해 왔지만 아직도 뚜렷한 바이오 마커가 없어 증상에 따라 진단만 하고 있다. 원인이 완전히 ... ...
[표지로 읽는 과학]사람 장기마다 발현하는 유전자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연구원만 130여 명에 이른다. 이들은 질병 없는 사람의 시신을 기부 받아 심장이나 폐,
뇌
, 피부, 혈관, 지방 등 각 조직 별로 유전자를 분석했다. 각 조직의 세포 별로 어떤 유전자가 발현됐는지 혹은 발현되지 않았는지를 조사했다. 그동안 2번의 중간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 유전자의 발현이 유전적 ... ...
[인사] 질병관리청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전재필 △유전체연구기술개발과장 김봉조 △심혈관질환연구과장 김원호 △
뇌
질환연구과장 고영호 △내분비·신장질환연구과장 박상익 △호흡기·알레르기질환연구과장 이점규 △난치성질환연구과장 김용우 △재생의료안전관리과장 이광수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 ...
뇌
세포 은밀하게 공격하는 코로나…결과는 치명적
연합뉴스
l
2020.09.11
것은
뇌
세포가 바이러스에 직접 공격을 당한 것이 아니라 인체 다른 부위의 염증이
뇌
세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이와사키 박사의 연구는 온라인으로 공개됐지만, 아직 학술지 게재를 위한 전문가 검토는 이뤄지지 않았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화학상 후보로 거론돼 왔다. 캐서린 뒬락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암컷과 수컷 쥐의
뇌
에서 신호전달물질인 갈라닌 단백질이 새끼를 양육하게 만드는 행동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힌 공로가 인정됐다. 데니스 로 홍콩중문대 교수는 태아의 DNA가 모체의 혈액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