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구벌과 빛고을 '달빛 AI 워크숍'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열렸다. 첫 세션에서는 김예성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팀이 자체 개발한
뇌
공학 기반 AI 경량화 모델에 대해 소개했다. 최종현 GIST AI대학원 교수팀은 스마트폰과 같은 엣지 디바이스에서 시각인지를 위한 경량화 모델을 소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김경중 GIST 융합기술학제학부 교수팀이 ... ...
[의학게시판] 서울보라매병원, 지자체 운영병원 최초 암센터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서울보라매병원 공공암진료센터 의료진 모습. 서울보라매병원 제공 ■서울보라매병원은 지난 3월 지방자치단체 운영 병원 최초로 공공암진료센터를 개소했다고 7 ... 원인 없이 목동맥 및 주요
뇌
혈관이 만성적으로 차츰 좁아져 혈류 공급에 이상이 발생,
뇌
졸중으로까지 이어지는 병이다 ... ...
[담화문 전문] 박능후"국민 건강 위협 받아선 안돼. 집단행동 자제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로, 응급질환이나
뇌
졸중 같은
뇌
질환으로 사망하게 되는 비율이 강원도 영월이 서울시 동남권보다 두 배 이상 높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한, 우리는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감염병을 치료하는 의사가 충분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게 꽤 효과가 있다. 바로 ‘빛 치료(light therapy)’다. 빛 치료 역시 감광신경절세포가
뇌
에 신호를 보내 효과가 나타난 결과일 가능성이 크고 그렇다면 이 세포가 민감한 파란빛 영역이 중요할 것이다. 지난 2009년 국제학술지 ‘우울 불안’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실제 파란빛이 같은 조도의 ... ...
"코로나19 완치 후 청력 저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0.08.04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그중 하나가 청신경을 따라
뇌
에 소리를 전달하는 경로가 손상되는 청신경 병증(auditory neuropathy)으로 배경 소음(background noise)이 있을 땐 잘 들리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코로나19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 ... ...
전북대 김기현 교수, 인간
뇌
닮은 '뉴로모픽 소자' 개발
연합뉴스
l
2020.08.03
제작한 인공 시냅스 소자"라며 "이온에 따라 시냅스 가소성을 제어함으로써 인간의
뇌
를 가장 밀접하게 모방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전북대 반도체설계 교육센터(IDEC)와 협력해 4차 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반도체소자 고도화와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
"유전자 검사로 영아
뇌
전증 '원인' 진단 가능"
연합뉴스
l
2020.08.03
연구로 원인 유전자 변이에 따른 적절한 약물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이지훈 교수는 "
뇌
전증 원인 유전자를 밝혀내면 치료 약물을 선택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며 "그뿐만 아니라 성장하면서 어떠한 예후를 갖게 될지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VR·AR은 게임, 아니고 산업' 정부 틀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2023년부터 2025년까지는 표정과 촉감을 입출력에 사용하고 2026년부터는 오감과
뇌
를 모두 활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2023년 이후에는 VR과 AR로 여러 사람이 함께 협업할 수 있고 시스템에도 AI가 결합돼 점차 지능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규제혁신 로드맵은 모든 분야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규제 10건과 ... ...
치매 발병 5년 늦춘다…원인 규명 및 치료제 개발 지원
연합뉴스
l
2020.08.03
기반 조기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등 8가지를 정했다. 아울러 신규 치료제,
뇌
내 약물전달기술 등 치매 예방과 치료기술 개발을 뒷받침한다. 정부는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으로 치매 발병을 5년 늦추고 연간 치매 환자 증가 속도를 50%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크다. 가령 척추뼈 안에 있는 신경조직인 척수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다.
뇌
에서 보낸 신경 신호가 팔다리로 전달되지 못해 하반신이 마비된다. 과학계에서는 이렇게 죽은 신경세포를 되살리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정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