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후보5. 실시간 계산 능력은 정어리가 최고!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먹이를 사냥하는 행동 등 여전히 연구할 게 많지요. 무리 짓기 알고리듬은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어요.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는 영화와 게임에서물고기나 새의 모습을 재현할 때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움직임을 나타내고, 드론이나 로봇 같은 기계가 무리를 지어 움직일 때도 이용할 수 있죠 ...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달 탐사에도 다시 시동이 걸렸다. 화성을 탐사하기 위한 베이스캠프로 달만 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길이 98m에 이르는 차세대 대형 로켓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Space Launch System)을 이용해 오리온(Orion) 우주선을 달 궤도에 보낼 준비를 하고 있다. 오리온은 큐브샛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은 곳을 찍으라고 명령했지요. Q 오퍼튜니티의 마지막 순간 그곳의 분위기는?사실 2월 마지막 신호를 받았을 때 우린 모두 오퍼튜니티가 다시 깨어나지 않는다는 걸 예감하고 있었지요. 그럼에도 임무종료가 선언되자마자, 현장에 있던 과학자들끼리 껴안고 울었어요. 20년 동안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영역이 작동했다. 조 교수팀이 이들 영역 사이의 커넥톰을 확인한 결과, A는 B와 D 등 두 곳과 연결된 반면, C는 A 한 부위에만 시냅스로 연결돼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림이 예쁘다고 반응하기 위해서는 A가 B와 D를 지배하고 있는 만큼 사실상 뇌에서 A와 C만 작동하면 뇌 기능은 정상적으로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중단됐다. 서지하 씨는 “일상마저 수학과 물리가 지배하는 진정한 ‘덕후’들이 모인 곳이 EOE”라며 웃었다. 신입생 위해 시험 기간에 공개강의EOE는 외부 활동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공부의 즐거움도 알리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활동은 공개강의다. 공개강의는 일종의 재능 기부 형태로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한순간에 어쭙잖은 것으로 치부될 수도 있다.이를 알면서도 기자는 웨어러블 연구실 두 곳에 감히 시연을 요청했다. 3월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신체부착형 웨어러블을 개발해 공개했고, 4월 임정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의류일체형 웨어러블을 ... ...
- [가상인터뷰] 바다뱀도 바닷물을 못 마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Hydrophis platurus)이라고 해. 뱀 중에선 유일하게 바다 표면에서 살아가고 있지. 우린 따뜻한 곳을 좋아해. 그래서 주로 인도양이나 태평양 서쪽 열대 지방에서 살아가고 있단다. 최근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바다가 따뜻해져서 아주 가끔 한국까지 가기도 해. 내 이름에서도 알 수 있겠지만, 난 평생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 있어 지하 유적의 형태까지 알 수 있지요. 넓은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아예 높은 곳에서 드론이나 비행기, 인공위성이 찍은 사진을 통해 유적을 찾을 수도 있어요. 이런 방법을 ‘공중탐사’라고 해요. 페루의 유명한 나스카 유적이 이런 식으로 발견되었지요. 가뭄이 고고학자를 도와준다고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용하면 여러분은 세포 단위로 쪼개지고, 다시 원자 단위로 쪼개져 그 정보가 그대로 먼 곳까지 전달되지요. 목적지에서는 그 정보가 다시 합쳐져 새로운 여러분이 만들어지고요. SF 영화 에 나오는 순간이동 장치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때 정보는 빛의 속도로 보낼 수 있다고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것이다. 한국인에게 이제 우주란 아무도 가보지 못한 곳도, 그렇다고 누구나 가본 곳도 아니다. 그만큼 모두가 매력을 가질 만한 공간은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2006년 우주인 배출 사업에 지원한 사람들은 3만7000여 명에 달했고, 그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우주인이 되고 싶은 강렬하고 진지한 꿈을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