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지구에서 깊은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어린 왕자’에 나오는 풍경을 상상하며, 충북 보은에서 이런 상상 속의 모습과 유사한 곳을 찾아 촬영했다. 어린 왕자 속 바오밥나무는 느티나무가 대신했지만, 그 뒤로 청명한 하늘을 밝게 빛낸 은하수만큼은 상상 속 모습과 똑같이 아름답다. ▲ ▶서천 해변가에서 은하수를 비추다 / ... ...
- [혀의 진화] 혀를 정복하려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고려대 랩 동아리 TERRA는 학생회관 내 동아리방 이외에도 세미나실을 하나 더 빌려 두 곳에서 연습을 하고 있었다. 연세대 RYU와 같은 해에 생긴 TERRA에는 현재 랩팀(12명), 싱잉랩팀(10명), 비트프로듀서(4명)에 속한 총 26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학기마다 팀별 회원을 따로 모집한다. 랩팀이나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에너지 등 과학적으로 중요한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었다.또한 수소는 인간이 더 높은 곳을 정복하는 데도 공을 세웠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수소 기체의 밀도는 약 0.090g/L로 공기의 밀도(1.225g/L)에 비해 극도로 낮다. 이 때문에 수소는 지구 중력을 쉽게 이겨낼 수 있다. 사람들은 이런 가벼운 성질을 ... ...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교수로 들이려한다. 이때 엉뚱하게 철학과 교수들이 반대하고 나섰는데, 힐베르트는 “이곳은 대학이지 목욕탕이 아니다”라며 쓴소리를 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한동안 괴팅겐대는 뇌터의 초빙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힐베르트는 1919년 뇌터가 정식 교수직으로 임명되기 전까지 4년 동안 자신의 ... ...
- [따끈따끈한 수학] 큰 수의 곱셈을 더 빠르게, 쇤하게-슈트라센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5호
- n2보다 빠른 방법을 찾았습니다. 콜모고로프는 너무 기뻐서 카라추바의 결과를 여러 곳에 알렸고, 1962년 저자를 카라추바로 한 논문을 직접 써서 러시아 과학 한림원에서 만드는 학술지에 출판했습니다. 카라추바는 한림원에서 보내온 저자용 논문 인쇄본을 보고 나서야 자기 이름으로 논문이 나온 ... ...
- [전지적 수학 시점] 포트리스M, 삼각함수로 사거리 예측하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아이템과 탱크가 가진 스킬을 적절히 써보세요. 지형을 이용해 상대방이 맞힐 수 없는 곳으로 숨는 것도 전략이죠. 자, 그럼 포트리스M에서 전설의 명사수가 될 준비됐나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묻고 싶다. 과학적이거나 정책적인 이야기가 아닌, 직접 체류하고 과학교실도 열었던 곳이 사라진 데 대한 개인적인 소감을 말이다. 2001년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가 폐기됐을 때나, 2011년 NASA의 우주왕복선이 은퇴했을 때는 관련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우주인들의 감상을 들을 수 있었다. 그에 비해 ... ...
- [중국유학일기] 책 660만 권 보유한 우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수 있는 열람실로 구성된 일반적인 도서관의 형태를 띠고 있다. 내가 자주 이용하는 곳은 1층의 컴퓨터석과 다른 층의 열람실이다. 모든 도서관 좌석 이용은 예약제로 운영된다. 모든 좌석에 고유 번호가 있어 예약해야만 좌석을 이용할 수 있다. 위챗(중국 메신저)에 우한대 공식 계정을 추가해 ... ...
- Part 4. 잡지 말고 관찰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뿐만 아니라 해마다 수많은 철새가 다녀가며, 갈기늑대와 왕관고독수리 등이 사는 곳이랍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마르치키타호의 물을 많이 사용하고, 주변 숲의 나무를 베어버린 데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아 호수가 점점 작아지고 있어요. 그래서 아르헨티나 환경보호단체 ‘아베스 ... ...
- [GO! GO! 고고학자] 테르모필레 전투의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곳의 땅을 팠어요. 시추공을 뚫어 흙의 조성을 분석했지요. 그랬더니 흙 대부분이 이곳을 지나는 스페르키오스강에서 떠내려온 퇴적물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테르모필레 전투 이후 2500년이 흐르면서 엄청난 양의 흙이 쌓인 것이지요. 또한, 고고학자들은 과거의 기후를 분석하여 이 지역의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