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다음 변사자의 지붕과 옆집 지붕이 맞닿은 곳을 유심히 살폈다. 도체와 도체가 맞닿은 곳을 통해 전기가 흐르면 그 접촉면에서 전기 저항이 생기는데, 이를 접촉 저항이라고 한다. 접촉 저항이 생기면 접촉 부위의 전압은 떨어지고 온도는 상승한다. 그러면 열이 발생해 접촉 부위에 열성 변화가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지표면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프록시마 b가 정말 인류가 살 수 있는 곳으로 확인된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인간이 프록시마 b까지 어떻게 이동하느냐 하는 것이다. 지구로부터 프록시마 b까지 거리는 4.24광년. km로 환산하면 약 40조1104억km에 이른다. 현재 추진 ... ...
- 수학동아와 함께해 더 특별한 파이데이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원주율 구하기’ 등 다양한 활동으로 π를 기념합니다. 3월 14일 수학동아가 방문한 6곳의 학교에서도 이런 활동을 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활동은 ‘파이 물결 만들기’입니다. 학생들이 각자 숫자를 하나씩 골라 예쁘게 꾸민 후, 원주율이 되도록 순서대로 붙이는 ... ...
- Intro. 올림픽의 그늘 - 지구인의 축제, 환경엔 재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살던 곳을 파괴해 식구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이사했지요. 그런데 얼마 전 저희가 살던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소문이 퍼졌어요. 정말인가요? Intro. 올림픽의 그늘 - 지구인의 축제, 환경엔 재앙?!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Part 2. 올림픽이 남긴 환경 파괴Part 3. 올림픽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800m, 평균 경사도 17°, 슬로프 연장 길이 3km 이상이에요. 강원도 내에서 이 조건을 갖춘 곳은 가리왕산뿐이었지요. 전북 무주에 이 조건을 만족하는 리조트 경기장이 있지만, 당시 정부는 강원도에서만 모든 경기를 치르기로 결정했어요. 결국 가리왕산 숲의 일부가 파괴됐지요. 당시 산림청은 ...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950년대까지 도살장과 벽돌공장, 쓰레기 처리장으로 쓰이다가 폐기물만 남겨진 채 방치된 곳이었지요. 아무렇게나 버려진 폐기물 때문에 ‘다이옥신 마을’이라고 불릴 정도로 오염이 심각했답니다. 이에 시드니 당국은 올림픽 경기장을 짓기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토지 정화 프로젝트를 ... ...
- Part 4. 계주처럼 여럿이 함께 개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또 얼마 전 하계올림픽을 개최한 중국은 곧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는데, 이는 전세계 곳곳에서 개최하며 평화를 도모하는 국제 행사의 의미가 옅어지고 있다는 걸 증명하는 사례랍니다. 저는 올림픽 도시를 만들어 전세계가 함께 운영하자고 제안합니다. 이런 경험은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해 논의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색’이라는 의미가 있어요. 한편, ‘잔상’은 어떤 물체를 오랫동안 바라보다 다른 곳을 보면 그 물체가 잠시 보이는 경우를 말해요. 특히 흰 배경에서 잔상이 원래의 보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보색 잔상’이라고 하죠. 예를 들어, 빨간색 공을 바라보다 시선을 흰 벽으로 돌리면 빨간색의 보색인 ... ...
- [과학뉴스]비행기가 지나간 곳엔 비가 내린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상공에 비행기가 지나가는 지역은 강수량이 6~14배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디미트리 모이시프 핀란드 헬싱키대 대기및지구시스템연구소 교수팀은 2008년 12월~2018년 1월 헬싱키 반타공항의 기상 레이더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반복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하는 특징적인 현상을 17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스타방에르에 데이터센터를 지었다. 원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지하 벙커였던 이 곳은 동굴이라 선선한데다 빙하의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진 피오르드에서 나오는 영상 7도의 물과 수력발전에서 얻은 전력을 냉각에 사용한다.아예 추운 북극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기도 한다. 페이스북은 2013년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