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공간이 존재합니다. 자유도가 높아지면 로봇이 움직이기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목표한 곳에 닿는 방법이 많아지기 때문이지요. 인간의 팔은 대략 자유도 7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자유도 6보다 자유도가 1이 더 높기 때문에 우리는 물건을 잡을 때 팔을 꼭 한 방향으로만 접근해서 잡을 수 있는 것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관찰됐습니다. doi:10.1002/2013GC005206이에 연구팀은 연구해역을 고해상도 지도로 만들고, 이곳 해령이 주로 잡아당기는 힘으로 발달했음을 시사하는 형태지구조적 특징을 관찰했습니다. 특히 ‘해양핵복합체(OCC·Ocean Core Complex)’와 ‘비변환불연속대(non-transform discontinuity)’라는 특수한 지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건물을 세운 것이 특징이었다. 특색이 뚜렷하다보니 대원들마다 감상이 갈렸지만, 어느 곳이나 화려하고 거대하다는 공통점이 두드러졌다. 황인선 대원은 왕궁을 둘러본 뒤 “현대 기술이 발전하기 전에 지어진 건물인데도 불구하고 건축 양식부터 내부 구조까지 완성도와 수준이 높아서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인류의 미래를 고려한다면 우리가 직접 그곳으로 가야하죠. 인류가 이주할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우주 탐사는 장기 전략으로 봐야합니다. 종종 새로운 행성을 찾는 데 돈만 낭비하고 결실도 얻지 못할 바에야, 차라리 그 돈을 우리 행성의 기후변화나 오염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는 것이 낫다고 ... ...
- [시사과학] 동물보호단체 케어, 개 수백 마리 안락사 시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설보호소는 그렇지 않지요. 이런 탓에 사설보호소 중에는 안락사를 거의 시키지 않는 곳도 있는 반면, 케어처럼 명확한 기준 없이 안락사가 이뤄지는 보호소도 있어요. 사설보호소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랍니다. 궁극적으로는 구조가 필요한 동물의 수를 ...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유독한 식물을 씹어 먹다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으니 토끼가 접근할 수 없는 곳으로 치워야 해요. 포식자인 고양이나 개와 마주치지 않도록 보호자가 항상 지켜보는 것도 잊지 마세요. ● 실전 - 이것만은 기억해 주세요! 토끼를 진료하는 병원이 흔하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방문하기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극히 소수의 사람은 높은 수준의 과학을 습득할 수 있었다. 일찍이 해외로 유학을 가 그곳에서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받고, 드물게는 최고의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활동했다. 말하자면, 과학 중심부로 진출한 사례가 적지만 있었다는 것이다.‘경도(교토) 3인방’으로 불린 이태규(화학), 이승기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위험한 상황부터 떠오르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케이디는 그래비티가 우주가 어떤 곳인지 너무나 잘 표현한 영화임과 동시에,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는 인간의 이야기를 다룬 휴먼 드라마라고 평가했다.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위험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과연 우리가 우주에 가지 못할 이유가 ... ...
- [나의 중국 유학일기] 한 학기 27학점 이수, 우한대의 1년 3학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귈 것이다. 그렇게 하려고 얼마 전에는 외국인 기숙사가 아닌 학과 친구들이 사는 곳으로 이사했다. 앞으로는 계속해서 전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내고 점점 중국어 실력과 전공 지식을 쌓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 ...
- [수학뉴스] 모래 더미에서 발견된 프랙털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한 곳에 모래알을 계속 떨어뜨리는 상상을 해보세요. 모래는 점점 원뿔모양을 이루며 쌓여 갑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모래 한 알에 쌓여 있던 모래의 일부가 원뿔의 빗면을 타고 무너져 흘러내립니다. 이런 현상을 수학에서는 ‘아벨리안 모래 더미 모형’이라 부릅니다. 수학과 물리학에서도 매우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