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우주날씨 예보를 하고 있다. 작년에 어린이들을 위한 우주날씨예보 책을 우리나라에서
최초
로 출판했고, 올해에는 성인들을 위한 우주날씨에 관련한 책을 구상하고 집필하는 중이다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약 2500년 전인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기하학 의
최초
저자일 만큼 기하학에 조예가 깊은 수학자였다. 히포크라테스는 당시 유명한 수학자였던 탈레스, 피타고라스와 더불어 기하학 연구에 심취해 있었다.히포크라테스의 업적 중에서도 단연 손꼽히는 것은 바로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국내
최초
쇄빙선 ‘아라온호’는 거대한 얼음이 뒤덮인 극지 바다를 누빈다. 남극 탐사에 이어 내년에는 북극항로 개척에도 나설 계획이다.한때 ‘꿈’으로만 여겼던 쇄빙선이 이렇게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이기까지 수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그 중 하나가 극지 얼음을 재현해 쇄빙선의 능력을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뒤 뇌를 약 1000개의 조각으로 잘게 잘라 부위별로 전사체를 분석했다.한국에서는 세계
최초
로 뇌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의 전체 지도, 즉 뇌단백질체(프로테옴)지도를 만들고 있다. 유전자를 사용하는 과정의 중간 결과물이 전령RNA라면, 최종 결과물의 모음은 단백질체다. 뇌단백질체지도 역시 ... ...
오크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기준을 마련하면서 명왕성은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하고 왜행성으로 강등됐죠. 명왕성이
최초
에 발견된 1930년대에는 지구 정도의 크기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달보다도 작았습니다. 질량과 중력이 행성이라 보기엔 너무 작고 공전 궤도 또한 심한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기 때문이었지요.이런 슬픈 ... ...
암호문의 끝판왕은?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역사에서
최초
로 등장한 암호는 문자 순서를 뒤죽박죽으로 바꿔 쓰는 ‘전치암호’다. 기원전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 군대가 비밀 정보를 교환하는 데 썼다. ‘스키테일’이라는 원통막대에 긴 양피지 리본을 감아 문장을 가로로 쓴 뒤 풀어 보낸다. 리본을 받은 쪽은 똑같은 원통 막대에 감아 ... ...
마취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아닙니다” 라고 선언했고 이로써 전신마취의 시대가 열렸다.그러나 모턴이 정말로
최초
의 전신마취를 성공시킨 사람은 아니었다. 자그마한 시골마을의 개업의였던 크로포드 롱은 모턴보다 4년 앞선 1842년 자신의 환자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뒤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지만 이 사실을 세상에 널리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있는 생명체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 오로지 화학물질로만 만들어내야 한다. 하지만 인류
최초
로 컴퓨터가 아닌 실제 인공생명체를 만드는 연구에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도전! 인공생명체 만들기근데 말이야. 당신 말을 듣다 보니 나도 인공생명체를 한 번 만들어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온 거지?”폴이 우주선에게 묻자 메시지가 떠올랐다.“이곳은 시간의 붕괴가 일어난
최초
지점입니다. 이곳에 시간의 붕괴를 막을 단서가 남아 있습니다. 시간의 붕괴가 완료되기 전에 서두르십시오.”폴은 일단 병실부터 샅샅이 조사해 보기로 했다.“그런데 어? 피타가 안 보이네?”방금 전까지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서울 브릿지학회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리에 모인 참가자들은 아시아
최초
로 한국에서 열리는 브릿지학회에 대한 큰 기대를 나타냈다.내년 한국에서는 또 얼마나 새롭고 흥미로운 융합수학을 만날 수 있을까? 독자들도 자기가 만든 수학 구조물이나 예술 작품, 연구 결과를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