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관측소는 전부 무인으로 운영된다. 카타니아로 오기 전에 들른 베수비오스 산 위에 있던
최초
의 화산관측소도 현재는 박물관으로 바뀌어 있다.잠시 후 우리는 그곳을 떠나 에트나 산으로 향했다.감시 카메라도 몇 년에 한 번씩 파괴돼얼마 뒤 도착한 곳은 에트나 산 남쪽 해발 1900m에 있는 리푸지오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주입해 만든 복제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키면 복제 동물을 만들수 있다.
최초
의 복제 포유류인 ‘돌리’가 그렇게 태어났으며, 뒤이어 쥐, 소, 돼지, 개 등에서 체세포를 이용한 동물 복제가 성공했다.그러나 이런 시도가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미탈리포프 교수팀도 2007년 원숭이의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두뇌 크기 연구에서 남자 어른 주먹 한 개 반 정도의 크기인 500cc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최초
의 인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뇌 용량은 500cc가 채 안됩니다. 갓 태어난 사람 아기의 두뇌 용량 역시 500cc가 안되지요. 사람과 가장 가까운 유인원인 침팬지 어른의 두뇌 용량 역시 500cc가 안됩니다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바다의 험난한 파도와 날씨를 무릅쓰고 이때부터 2013년까지의 후속 탐사를 통해 세계
최초
로 남극의 가장 고위도 지점(남위 62˚)에서 열수구와 열수생물의 과학적 증거를 찾아냈다. 자세한 발견 내용은 곧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쾌거가 아닐 수 없다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모두 여섯 가지 법정의료관련감염병이 있다.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은
최초
의 항생제인 페니실린 계열에 내성을 지닌다. 페니실린은 베타락탐이라는 성분이 박테리아의 효소에 결합해 세포벽을 이루는 물질(펩티도글라이칸)의 합성을 막고, 결국 세포분열을 방해한다.이에 박테리아는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생김새를 가졌어. 이걸 흉내 내면 우리도 그 특성을 가진 물건을 만들 수 있지.잠깐!
최초
의 생체모방 기술은 무엇일까요?원시시대 사람들은 짐승이 가진 날카로운 발톱을 보고 칼이 나 화살촉 같은 사냥무기를 만들었어요.과학자들은 왜 동식물을 흉내 낼까요?우리가 만들려고 하는 발명품에 필요한 ... ...
저는 로봇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중지를 명령했습니다.“좋다. 솔직한 답을 듣기 위해서는 먼저 솔직하게 물어야겠지.
최초
의 인간형 로봇이 만들어지기 오래 전부터 인간은 자신을 닮은 피조물들이 자신에게 반항하는 두려움에 가위눌려 왔다. 하지만 정작 인간과 유사한 정보 처리가 가능한 로봇이 나온 이래 로봇의 반란이라고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싸움은 계속된다“잠깐 기다려요! 아직 아무 것도 못 들었잖아요! 기다리라니까요!”(
최초
의 장편 유성 영화 ‘재즈 싱어’의 첫 녹음 대사)1927년, 재즈 가수 알 졸슨은 영화 ‘재즈 싱어’를 통해 현실과 영화 세상 사이에 새로운 싸움이 시작됐음을 알렸다. ‘소리’는 스크린에 등장하는 인물에게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8000여 명의 DNA에서 30만 개를 비교한 대규모 연구였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
의 연구이기도 했다. 그런데 일부 언론이 이번 연구를 키 부분만 집중 보도하면서 김 교수의 시련은 시작됐다.진짜 연구결과는 이렇다. 개인의 여러 신체 특징은 한두 개 유전자로 결정되지 않는다. 예측을 위해선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흑연도 될 것이라는 친구의 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회로를 연필에 붙였다. 이것이
최초
의 드라디오다. 연필을 잡은 사람의 몸과 연필로 그은 선이 회로를 완성한다. 그은 선의 한 쪽 끝은 연필이, 다른 끝은 사람 손이 집어야 한다. 그은 선이 길수록 저항이 커서 낮은 음이 난다.몇 년 뒤에 교구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