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 손색이 없었죠. 이제 ‘호모 하빌리스’는 명실상부한
최초
의 호모 속으로 인정 받는 듯 했습니다.하지만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았습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이후에도 끊임없이 고인류 화석이 발견됐습니다. 이들은 크기나 모양 등 모호하고 혼란스러운 기준에 따라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교수와 함께 우주마이크로파 배경 복사를 관측하기 위한 실험에 몰두했다. 하지만 실제
최초
의 관측은 벨연구소 연구원 둘이 우연히 해냈고, 나중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급팽창의 미스터리와 우주 관측위성의 등장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까지, 우주에서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인 급팽창이 ... ...
저는 로봇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중지를 명령했습니다.“좋다. 솔직한 답을 듣기 위해서는 먼저 솔직하게 물어야겠지.
최초
의 인간형 로봇이 만들어지기 오래 전부터 인간은 자신을 닮은 피조물들이 자신에게 반항하는 두려움에 가위눌려 왔다. 하지만 정작 인간과 유사한 정보 처리가 가능한 로봇이 나온 이래 로봇의 반란이라고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생김새를 가졌어. 이걸 흉내 내면 우리도 그 특성을 가진 물건을 만들 수 있지.잠깐!
최초
의 생체모방 기술은 무엇일까요?원시시대 사람들은 짐승이 가진 날카로운 발톱을 보고 칼이 나 화살촉 같은 사냥무기를 만들었어요.과학자들은 왜 동식물을 흉내 낼까요?우리가 만들려고 하는 발명품에 필요한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것도 중요하다. 헤켈 박사는 “생산 과정에서 혁신을 이룰 수 있었기 때문에 소재를
최초
로 개발하지 못해도 결과적으로는 코닝이 앞서 나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금 코닝에서 쓰고 있는 세라믹 전해질 연구 시설도 그대로 규모만 키우면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두개골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초음파는 내지 못했다는 사실이 밝혀졌거든요.
최초
의 당신은 먼저 하늘을 날았고 초음파는 내지 못했습니다. 아마 당신은 초기에 날개를 써서 경쟁자인 설치류나 식충류를 따돌리고 허공의 곤충이나 과일을 먹었을 것입니다. 그러다 숲의 장애물이나 동굴의 어둠을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진화하게 한 원동력까지 뛰어난 두뇌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최초
의 특징은 머리가 아니라 다리에 있었거든요.머리보다 다리가 뛰어났던 인류1974년, 동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 화석 하나가 발굴됐습니다. 발굴하던 그 순간, 라디오에서는 비틀즈의 노래 ‘루시,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무슨 소용이냐고? 이미 우주정거장에서는 지구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한국
최초
의 우주인 이소연 박사도 우주에서 뉴스를 확인하거나 이메일을 주고받았다. 과연 어떻게 행성 간 인터넷이 가능한지 빈트 서프 부사장에게 들어보자 (기자가 구글 본사 방문시 출장 중이어서 e메일 인터뷰로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번째 개화유전자 클로닝의 영예는 아마시노 교수에게 돌아갔다. 아직도 학계에서 필자는
최초
로 개화유전자 ‘루미니디펜던스’를 클로닝한 학자로 명성을 얻고 있다.루미니디펜던스가 플로리겐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루미니디펜던스와 플로리겐의 관계가 종잡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199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로켓의 관성항법장치와 자세제어시스템을 시험했다. 2002년 발사된 KSR-III는 우리나라
최초
의 액체추진로켓으로 소형위성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나로호 발사에도 이때 얻은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러나 사운딩 로켓을 수백 대나 발사하면서 경험을 쌓아온 우주기술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