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인 물고기의 평화로운 대화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사실이 발견됐다. 벨기에 리게대의 에릭 파멘티어 박사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실험생물학저널’ 11월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붉은배 피라냐의 소리를 듣기 위해 수중 마이크를 설치하고 행동과 소리를 관찰했다. 물고기는 보통 구애를 위해 소리를 냈지만 피라냐는 달랐다. 파멘티어 ... ...
‘심장질환 유전자’ 예방하는 초록 샐러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으면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얘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캐나다 맥길대 연구팀은 특히 익히지 ... 예방하려면 과일과 채소를 하루 5번 이상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이 연구는
학술
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의학지’ 10월 11일자에 실렸다 ... ...
나노 세계의 중심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줬다.지금은 학위과정을 마치고 회사에 복귀해 반도체 공정 개발 업무를 하고 있다.
학술
연수에서 얻었던 연구 성과와 반도체 현상에 대한 체계적 접근 방법 등은 회사 생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반도체 공정은 지난 10여 년처럼 향후에도 발전을 지속할 것이다. 바이오칩 개발 등 반도체 공정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은평구에 위치한 하나고는 독특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자율형 사립고다. 국제
학술
심포지엄도 개최할 만큼 학생들의 실력이 뛰어나다. 올해 입시 전형에는 내신성적 반영 교과를 전교과로 확대했다. 하나고 유동훈 입학관리실장을 만나 하나고의 입학에 대한 궁금중을 풀어봤다.지난해, 자립형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확대했기 때문이다. 현재도 수학과 과학에 우수한 고등학생들을 선발해 수준 높은
학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는 군산고등학교와 수학·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협약도 맺었다.이 과정에 속한 학생들은 연간 84시간의 강의와 실험을 하면서 연구 보고서를 작성한다. 일반 고등학교 에서는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8월 26일 낮 12시,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에서 베임 교수를 만났다. 포스텍에서 열린
학술
대회를 마치고 오후 비행기로 출국하기 직전이었다. 해설과 통역을 위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교수가 함께했다.“42년 동안 양자역학계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요? 실험의 비중이 늘었다는 점이에요.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일본이나 대만의 연구자들도 사용신청서를 보내고 있다”며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은
학술
적으로 국제 경쟁력이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사실상 유일한 망원경”이라고 덧붙였다. 천문대 대장은 국내외 연구진들의 사용신청서를 검토해 사용시간을 배정해주는 권한이 있다.39억 년 전 ... ...
게임, 뇌에 도움 안 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비디오 게임이 두뇌 계발에 된다는 핑계를 대면서 게임을 즐기던 사람들에게 불똥이 떨어졌다. 월터 부트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심리학과 교수는 ... 않는다고 단정하지는 않았다. 가능성은 있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술
지 ‘심리학의 최전선’ 9월 13일자에 실렸다 ... ...
우리은하 나선팔은 교통사고 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외부 은하와 충돌하면서 생겼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학술
지 ‘네이처’ 9월 15일자에 실은 논문을 통해 우리은하와 궁수자리에 있는 왜소은하의 충돌 과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발표했다.궁수자리 왜소은하는 지난 20억 년 동안 우리은하와 두 번 충돌했다. 두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논문만 30여 편에 달한다. 백 교수는 특히 2005년 암 전이를 억제하는 유전자를 밝혀내
학술
지 ‘네이처’에 논문을 실었으며 2009년에는 젊은과학자상을 받았다.과학자의 길을 걸으면서 가장 어려웠던 때를 물었다. 김 교수는 ‘박사 과정 막바지’를 꼽았다. “답답한 시기였어요. 결과는 당장 안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