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집가려고 고향 떠났던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파란트로푸스 로부스투스의 두개골 모습. 치아에 남은 스트론튬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의 활동범위가 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과거 현생 인류의 ...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지만 가설을 수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
학술
지 네이처 6월 2일자에 소개됐다 ... ...
재활용 포장용기 건강 해칠 수 있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든 포장용기에 음식을 담으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과학
학술
지 ‘포장기술과학’ 온라인판 6월 10일자에 실렸다.스위스 식품통제위원회의 분석화학자인 코니 그랍 박사는 “종이 포장 용기는 보통 한 번 쓴 포장용기를 재활용해 만드는데, 이때 인쇄된 잉크 성분이 남아있다”며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명, 논쟁의 장을 열다과학계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이 연구 결과가 지난해 10월 2일 과학
학술
지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실렸을 때도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자들이 줄을 이었다. NASA가 연구성과를 과장했다는 비판도 많았다. 사이언스도 이를 의식해서인지 온라인판 게재 이후 6개월이 지난 6월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 뒤 혀를 당기면 ‘혀 국자’에 담긴 물이 입안으로 들어 간다고. 과연 그럴까.생물학
학술
지인 ‘바이올로지 레터스’ 5월호에는 개가 물을 마시는 법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이 연구를 한 미국 하버드대 크롬프톤 교수는 사실 오랫동안 동물의 물 마시는 법을 연구한 이 분야의 전문가다.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걸릴 위험을 높인다고 단언할 수 없다”고 최종적으로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
지 ‘국제유행병학저널’ 2010년 5월 18일자에 실렸다.장시간 통화 뇌종양 유발한다인터폰 연구가 한창 진행되던 때 스웨덴 오레브로대 의대의 레너트 하델 교수도 동일한 역학조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지의 이름은 ‘박막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다. 연구 성과는 2011년 4월 미국 과학
학술
지 ‘엘렉트로케미스트리 커뮤니케이션’에 실렸다.전공을 뛰어넘어 다양한 공부해야연료전지는 다른 전지보다 효율이 좋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전기를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현존하는 포유류(왼쪽)와 고대포유류의 뇌 크기(분홍색) 비교. 포유류는 후각이 발달하면서 뇌가 커지고 복잡해져 똑똑해졌다고 추정된다.]포유류가 ... 것이 두뇌와 신경계 발달로 이어졌다는 것이 티모시 교수팀의 설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
지 ‘사이언스’ 5월 20일자에 실렸다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남양주시 와부고1)은 강연이 무척 기대된다고 말했다.생화학분자생물학회는 연례국제
학술
대회가 열리는 첫날인 5월 16일 미래의 생명과학자를 꿈꾸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생명과학 석학과 함께하는 BIO 희망나눔’ 행사를 열었다. 총 600명이 앉을 수 있는 코엑스 그랜드볼룸이 학생들로 가득 찼다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알맞은 양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자동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5월 과학
학술
지 ‘피직스 인 메디슨 앤 바이올로지’에 게재됐다. tDCS 관련 공학 논문으로는 국내 최초다.tDCS로 정확하게 머리의 어느 부분을 자극해야 하는지도 정해야 한다. 지금 쓰는 TMS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 ...
“과학동아 같이 멋진 잡지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잡지부 창설뿐 아니라 잡지를 만들 수 있는 예산까지 확보했다.김근우 군 뿐 아니라 창의
학술
잡지부 대부분이 과학동아 애독자였다. 강의 도중 자연스럽게 과학동아에 대한 이야기들이 쏟아졌다.“과학동아를 읽으면 사회 현상들을 과학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눈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특히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