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로버트 루카스 교수팀 역시 포스터 교수의 발견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학술
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멜라놉신을 만들지 못하는 쥐(따라서 ipRGC가 제기능을 못한다)에서 배외측슬상핵에 있는 뉴런의 절반 정도가 빛자극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 ...
겨울잠의 비밀 불포화지방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불포화지방산이 바로 겨울잠의 비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불포화지방산은 이중 결합을 하나 이상 가진 지방산으로 흔히 ‘좋은 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 조절할 수 있는지를 밝혔다”며 의의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
지(PLoS ONE)’ 4월 13일자에 실렸다 ... ...
3D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태양폭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박사팀은 18일(현지 시간) 영국 랜디드노에서 열린 왕립천문학회의 ‘국립천문
학술
회의(NAM) 2011’에서 “3D 시뮬레이션 결과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태양폭발이 일어난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태양표면에서 자기장에 의해 플라스마가 이동하며 고리 모양의 ‘플라스모이드’를 ... ...
국내 연구팀이 ADHD 유전적 원인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때문이라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의약학계
학술
지인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18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연구팀은 ADHD 증상이 있는 아동들과 그렇지 않은 아동들의 유전자형을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GIT1 유전자의 염기 1개가 다른 아동들은 ADHD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네이처, 사이언스, 셀과 같은 저명 과학
학술
지에 논문을 실은 과학자 40만 명의 논문 성과를 분석하면, 연구에 발을 들여놓은 지 5~10년 정도 되는 초기에 논문을 많이 쓴 과학자일수록 꾸준히 좋은 성과를 냈다. 또 노벨상 수상자들은 20~30대에 발표한 ... ...
우울증, 거식증도 미국이 팔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정의와 치료법은 국제 표준이 됐다. 게다가 미국 과학자들은 정신의학 분야의 최고
학술
지를 운영하고 학회를 개최한다. 정신질환에 관한 연구 자금을 대고 약물치료 마케팅에 수십억 달러를 쓰는 것도 미국의 제약회사들이다. 미국은 이제 정신질환도 패스트푸드와 랩 음악처럼 미국식으로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원장까지 방문하게 된 것이다.왕립
학술
원장은 캄보디아 현지에서 장관급 직책이다. 왕립
학술
원은 캄보디아 최고의 국립 인재 양성 기관으로 자국의 교육정책을 총괄하는 곳이다.클롯 티다 원장은 “한국 대학생들의 교육 활동에 참고할 점이 많다”며 “캄보디아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 ...
식중독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노로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새롭게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과학
학술
지 ‘저널 오브 바이롤로지’ 3월호에 실렸다.이 백신은 병원성이 없는 바이러스에 노로바이러스의 껍질단백질(캡시드)만 입히는 방법을 써서 개발했다. 그동안 백신은 그 병을 일으키는 병원성바이러스를 ... ...
Part 5. 포스터로 보는 수학의 활약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도전을 수학의 해의 주제로 삼았다. 이에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은
학술
모임, 강연, 전시 등 다양한 수학의 해 행사를 열었다. 수학의 시각화라는 주제답게 1999년 유럽수학연합은 수학 포스터 만들기 대회를 개최했다. 프랑스에서는 수학 엽서를 만들었고 우리나라를 비롯해 ... ...
수학으로 폭로한 '박쥐괴질' 대처법의 허점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전염을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미국의 생물의학
학술
지 ‘컨설베이션 바이올로지’ 2월호에 발표했다.박쥐는 해충을 잡아먹어 박쥐 수가 줄면 인간의 삶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두 사람은 괴질 감염 지역에 있었던 박쥐 무리의 생활을 1년 동안 관찰했다. 그 뒤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