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술을 훈련하는 교육과정에 비디오 게임 ‘기술’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2007년
학술
지 ‘외과아카이브’에 실은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1주일에 3시간 이상 비디오 게임을 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실수가 37%나 적었고 수술에 걸리는 시간도 27% 짧았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비디오 ... ...
사람마다 살찌는 부위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농도가 낮으면 엉덩이, 허벅지에 지방이 축적된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과학
학술
지 ‘당뇨’ 2월 24일자에 발표됐다.모튼 교수팀은 “동일한 비만이라도 사과형 몸매가 건강에 더 해롭다”고 덧붙였다. 배 밑 피하조직에만 지방이 축적되는 게 아니라 배 안의 위, 이자, 소장 등 내장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썼다. 하지만 지금은 ‘빛이 진공상태에서 2조2979만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라고
학술
적으로 규정한다. 절대적인 자연현상을 시간개념과 합쳐 표준값을 이끌어내는 식이다. 미터는 물론 칸델라, 암페어 등 다른 기본단위도 이런 식으로 만든다.1초=세슘원자 92억 번의 진동결국 정확한 ... ...
상어도 목욕탕에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파괴되고 있다”며 “상어의 생존을 위해 보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온라인판에 3월 14일 게재됐다. [청소놀래기가 환도상어의 기생충과 각질을 제거하는 부위. ... ...
산호초의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미국 워싱턴에 있는 세계 자원 연구소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산호초의 75%가 수온 상승, 오염, 산성화 같은 생태계 교란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 ... 무인으로 장기간 산호초의 광합성과 호흡량을 감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학술
지 ‘지구물리학연구지(GRL)’ 3월호에 실렸다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섭취하면 유방암의 발병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08년 4월 미국 암연구협회
학술
대회에서 재스민 류 시카고대 박사팀은 폐경기 이후 여성 2390여 명의 유방암 수용체를 분석한 결과 알코올이 체내의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의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밝혔다.젊은 날에 뜻밖의 병으로 병원 ... ...
벼룩 점프의 비밀 풀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서튼 교수팀이 벼룩의 뜀뛰기 능력의 비밀을 풀었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
학술
지 ‘실험생물학’ 온라인판 2월9일자에 실렸다.벼룩은 몸길이의 200배를 뛰어오른다. 사람으로 치면 350m 정도를 뛰어 오르는 셈이다. 이런 비결에 대해 두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영국의 생물 학자 미리암 ... ...
잠꾸러기 원인은 유전자 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수팀은 KAIST 생명과학과 최준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이 같은 연구를 수행해 2월 17일 과학
학술
지 ‘네이처’에 게재했다.연구팀은 초파리에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 중 ‘per’ 유전자를 없앴더니 초파리의 생체리듬이 망가졌다. 연구팀은 per 유전자가 생체시계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신경과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작년 11월 24일 과학
학술
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뉴런은 신경전달물질을 세포 안의 ‘소포’라는 주머니에 담은 뒤 시냅스라는 연결 부위를 통해 전달한다. 예전에 신경과학자들은 전자현미경까지 동원해 신경교세포에서 ... ...
빛 입자로 즐기는 하노이의 탑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빛 입자가 진동하는 현상을 이용해 하노이의 탑 게임을 할 수 있다고 물리학 분야의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피직스’ 1월 30일자에 밝혔다.연구팀은 공진기들 사이에서 빛 입자가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칩을 개발했다. 칩에는 공진기 3개와 양자정보의 기본단위인 큐피트 2개가 결합돼 있다.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