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화석 역시 현대인보다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보다 본원적인 특징이 많다는 게 고인류
학자
들의 연구 결과다. 그렇다면 이 종 역시 초기에 아프리카를 벗어났던 왜소한 종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런 연구 결과는 어디까지나 가설이자 소수의견이었다. 그런데 최근 이를 뒷받침할 수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않다는 걸 아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해양생물
학자
가 꿈인 최세진 군(경기 파주 한민고 1)은 “인터넷으로는 알 수 있는 게 제한적인데, 이곳에 와서 눈으로 해양생물을 보고 궁금한 점은 박사님께 직접 여쭤볼 수 있어서 정말 값진 시간이었다”며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살려면 획기적인 방법을 생각해 내야 한다.숫자가 된 글자로 지구와 교신하기기계공
학자
인 와트니가 통신기기를 고쳐 구조를 요청하는 것도 지구로 돌아갈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안타깝게도 지구와 통신할 수 있는 기계는 모두 사라졌거나 고장이 났다. 와트니는 과거 화성에 먼저 도착한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양전하(푸딩) 사이사이에 전자(건포도)가 송송 박혀있는 모형이었다. 1911년 영국의 물리
학자
에른스트 러더퍼드는 알파입자(헬륨 핵)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가 톰슨의 생각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보였다. 양의 전하가 원자내부의 아주 작디작은 영역 안에 조밀하게 모여 있다는 사실을 밝힌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영도, 즉 0 K로 새로운 기준을 잡았다. 물의 어는점은 자연스럽게 273.15 K가 됐다. 하지만 과
학자
들은 여기에서 만족하지 않았다.그동안 취재했던 다른 단위에 비해 온도는 참 쉽고 직관적이다. kg처럼 변하는 원기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왜 기준을 바꾸려는 걸까.“우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그러니까 앞으로 나올 연구 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이름이 바뀔 수 있지요.고생물
학자
업처치 교수는 “최근 연구처럼 공룡을 자세히 분류한다면 훨씬 많은 공룡이 생길 것”이라고 이번 연구를 평가했어요. 앞으로 연구를 통해 더 많은 공룡이 발견될 수도 있으니, 다른 공룡들에게 부탁해 보세요. ... ...
개미
학자
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비를 맞으면서 “I’m happy!”를 외쳤답니다.제 꿈은 고래 박사인데요, 원장님같은 동물
학자
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전 공부를 늘 열심히 한 학생은 아니었어요. 오히려 밖에 나가서 개구리랑 메뚜기를 잡느라 시간을 다 보냈지요. 그러다가 미국에 가서 동물과 자연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➎ 펼치면 아이비 잎사귀 완성!] ‘접어서 한 번만 자르기’ 문제는 1721년 일본의 수
학자
칸 추 센이 쓴 에 처음 등장한다. 이 책은 당시 유행하던 다양한 수학 퍼즐을 책으로 묶어 낸 것으로, 접어서 한 번만 자르기 문제도 여기에 들어 있다.기리가미가 역사적인 순간에 큰 역할을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비유한다. 몸집에 따라 걷는 속도가 다른 이유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미국 물리
학자
인 재클린 페리 박사는 사람이 걸을 때 다리를 움직이는 과정을 관찰했다. 두 발이 번갈아 움직여 한 걸음을 걷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0.6초. 말과 마찬가지로 사람도 일정한 패턴을 수없이 반복해 움직인다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
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