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사회적 연결망에서는 작은 고추가 맵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슈퍼 전파자’로 불리던 14번 환자도 바로 이런 경우지요.최근 미국 뉴욕시티대의 물리학자 플라비아노 모론과 허난 막스는 사회적 연결망에서 ‘작은 고추가 맵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장 영향력이 큰 집단은 연결된 사람이 가장 많은 집단이 아닙니다. 이보다 훨씬 더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과학자, 수학자가 정리하고 발전시켜 지금은 우주 공간 곳곳을 연구하는 데 쓰인다. 만약 한 청년이 열정을 발휘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전파천문학을 조금 더 늦게 만났을지도 모른다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냥 재미있어서 하는 거야. 내가 뭐 방정식을 줄줄이 풀고 그러진 못해요. 근데 위대한 학자의 사고 과정이 보이고, 뭔가 그 안에서 명쾌한 답을 유도해 나가는구나 싶은 느낌이 드는 거야. 어려운 것보다 재미있는 게 더 커진 거지. 또래 친구들이 관심 있어 하는 명상이며, 뭐며 난 하나도 재미가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은 브릭 하나도 정밀하게 계산해서 만든 작품이라고 생각하니, 모든 게 새롭게 보인다. 이제 겨우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겠다 싶었 ... 그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게 확실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팔방미인 수학자 브릭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PART 2 학문을 품은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외계 항성계에 적용했다.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은 18세기 티티우스와 보데라는 두 천문학자가 발견한 법칙으로, 태양으로부터 태양계 행성들까지의 거리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규칙이다. 수열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고, 이를 ‘티티우스의 수열’이라 한다. 4 7 10 16 28 52 100 196 388 772…태양과 지구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차이를 결정한단 말인가. 진짜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1970년대에 분자생물학자와 발생학자가 겪은 고민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DNA가 아닌 DNA의 구조가 전사를 조절한다’는 것과 ‘DNA가 똑같은 세포가 왜 서로 다른 세포로 분화되는가’는 결국 DNA가 정보를 저장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8호
- 2개의 쿼크 신호가 추가로 검출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미국 시러큐스대 물리학자 토마스 스쿠와르닉스키는 “펜타쿼크는 업(up) 쿼크 2개와 다운(down) 쿼크 1개, 참(charm) 쿼크와 안티 참 쿼크 등 5개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펜타쿼크를 찾았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수차례 있었다. 200 ...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돌연변이도 개체군에 성공적으로 침입할 수 없는 안정성을 설명한다. 이 이론을 통해 과학자들은 새로운 종의 진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수학이 생물학을 바꾼 예는 이뿐만이 아니다. DNA의 분자 구조는 결정속의 원자 구조가 만드는 회절 패턴으로 원자 구조를 재구성하는 브래그 법칙과 푸리에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사용하는 방식이 담긴 프로그램을 교체해 이뤄진다. 이 프로그램이 후성유전학이다. 식물학자들은 식물의 유연한 후성유전적 특징이 전형성능에 보탬이 됐을 것이라고 생각한다.식물 연구는 인내심이 필요한 일이다. 박테리아가 20분에 한 번씩 새로운 세대를 만들 때 식물은 몇 달을 기다려야 한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억 원이 넘게 들었다. ‘함께 먹는 것’은 사람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미국 심리학자 존 드 카스트로는 사람이 타인과 함께 식사를 할 때 식욕이 어떻게 달라지는 조사해 1989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사람은 타인과 함께 식사를 할 때 평소보다 음식을 44%나 더 먹었다. 또 재미있게도 같이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