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느낄까. 분명히 실재가 아니라는 걸 아는데 말이다. 이 문제를 진화심리학적으로 해석한 학자들이 있다. 사람들은 강력한 반증이 없는 한 오감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일단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이탈리아 파도바대 쥬세페 만토바니 심리학과 교수는 1995년 ‘인간관계’ 저널에 발표한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곧바로 다른 물질로 변해버린다. 물리학에서는 이를 ‘붕괴’라고 한다. 물리학자들은 그동안 B중간자가 뮤온이라는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0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타난다. 아주 어린 사람은 자연을 좋아하기는커녕 매우 두려워하기도 한다. 환경교육학자 데이비드 오어는 인공적인 환경이나 기술문명에 둘러 싸여 지내는 어린이에게서 '바이오포비아', 즉 자연공포증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확실히 도시에 사는 어린이는 자연 환경에 덜 노출되며,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재미삼아 자기보다 약한 공룡을 죽인 것이다.유전자 조작으로 새로운 동물을 만들 때, 과학자들은 예상치 못했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바로 ‘나비효과’ 때문이다. 사소한 변화가 증폭해 전혀 예상치 못한 크나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한쪽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사망자 수조차 세기 어려운(25만~75 만 명 추정) 최악의 참사가 발생했다.그럼에도 지진학자들은 지진을 포기하지 않았다. 다양한 방식으로 관측 데이터를 축적해 나가는 중이 다. 지진발생 전에 단층대에 발생하는 응력을 GPS나 응력계, 경사계를 이용해 측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이 다. 단층대가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법으로 금지돼 있고,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미미하다. 아직까지 크리스퍼를 연구하는 학자의 숫 자도 많지 않다. 크리스퍼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기 위 해 우리도 논의를 시작해야 될 시점이다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우주론에 적용할 수 있는 시공간 풀이를 상세히 밝혔다.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마르텐 슈미트는 빛띠 스펙트럼이 빨간색 쪽으로 매우 크게 치우쳐 있지만 그 이유를 도무지 알 수 없는 놀라운 천체를 발견했다. 항성처럼 빛이나 전파를 내지만 항성은 아닌 이 천체는 준성(QSO, quasi-stellar object)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때는 다시 몸집을 키운다.바다이구아나들이 이렇게 몸집을 줄일 수 있는 비 결은 뭘까. 과학자들은 엘리뇨가 심했던 1992년부터 1993년 사이에 바다이구아나들의 몸집이 최대 20%까 지 줄어든 데 주목했다. 이들은 바다이구아나의 근육 과 지방, 그리고 연골이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예측했 지만, 실제로 ...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분석했다. 미국 소설가 허먼 멜빌이 쓴 ‘모비딕’을 분석하면 ‘고래’가, 영국 생물학자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분석하면 ‘종’, ‘다양성’, ‘형태’라는 단어가 나왔다. 같은 방법으로 보이니치 문서를 분석하자 분야마다 다른 키워드가 나왔다. 놀랍게도 약초와 약물 부분에서는 ... ...
-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아는 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칼로리 정도 된다. 짜장면 한 그릇과 탕수육 1인분쯤 되는 칼로리다!).이 책을 감수한 천문학자 이명현 박사는 “질문은 모든 앎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과학을 알아갈 준비가 됐다면, ‘쓸데없는 질문이 아닐까?’라는 의심은 잠시 내려놓자.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학적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