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초의 mRNA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첫 대규모 안전성 분석결과 "이상반응은 2%"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설문을 분석해 알레르기 반응 발생률을 조사했다.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알레르기 및
면역
학과 임상 역학 프로그램 공동 책임자인 킴벌리 블루멘탈 교수 연구진은 “코로나19 mRNA 백신은 인류 최초의 mRNA 백신으로 놀라운 효능과 안전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백신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정확한 ... ...
집단
면역
향한 각국의 백신 접종 속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약 1만 곳에서 본격적인 접종을 시작한다. 당초 방역당국은 올해 11월까지 집단
면역
을 형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해외 변이 바이러스 유입, 백신 수급상황, 접종률 등을 이유로 형성 시기가 미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
보건당국 "변이 바이러스 위협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발병률이 높았다. 국내 방역당국은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해 예방접종을 통한 집단
면역
력 형성 이전까지 국내발생을 최소화하는 억제 전략을 실행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상원 단장은 “보다 대규모의 차세대 유전자검사로 위험을 식별하고, 보다 철저한 유행관리 원칙을 적용해나갈 것”이라고 ... ...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 많이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여성의
면역
반응이 더 활발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류머티스나 갑상선염 등
면역
질환 환자의 80%를 여성이 차지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라는 설명도 존재한다. 백신 용량의 영향도 성별 차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여성은 더 낮은 백신 용량으로도 남성과 같은 예방 효과를 낼 수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
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분석됐다. 연구진은 “변이 펩타이드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T세포를 제거하고
면역
력 형성을 방해하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접종중인 mRNA 백신은 펩타이드에 대한 T세포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표적 펩타이드 중 일부가 변이를 일으키면 mRNA 백신의 효능이 저하될 수 ... ...
코로나 백신 맞은 100명 중 1명꼴 이상반응 신고…여성·젊은층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예상보다 강하다고 호소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정 본부장은 “백신이 몸에 들어가면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며 이상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 반응을 보이는 게 통상적”이라며 “대부분은 2~3일 지나면 해소가 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포함한 다른 백신도 이상반응이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바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5세 이상 접종 가닥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1회 접종한 후 2~3주가 지나면
면역
효과가 6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4~5주 후에는
면역
효과가 73%까지 상승했다. 또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지만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보다 응급실 입원률이 37% 더 낮았다. 이 밖에 스코틀랜드 보건당국과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진은 작년 12월 8일부터 이달 1 ... ...
지역사회서 첫 발견된 남아공 변이는 어떤 특성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한 번 감염된 사람들의 재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E484K 돌연변이가
면역
반응을 약화시키고 중화항체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이라고 의학학술지 ‘영국의학저널(BMJ)’에 밝혔다. ... ...
4대 진단
면역
학회장에 조윤영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국제교류 활성화와 대외협력 강화, 교육수련분야 강화 등을 3대 과제로 선정, 대한진단
면역
학회의 발전을 위해 맡은바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
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5일자 표지에는 복강 내에 생긴 상처에 모여 상처 부위를 메꾸고 있는 GATA6+대식세포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 실렸다. 사이언스 제공 포유류의 뱃속에는 장기와 배의 내벽 사이의 공간인 ‘복강’이 있다. 복강을 떠다니는 GATA6+대식세포는 몸에 해로운 이물질, 미생물, 암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