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여기서 ψ(프사이)는 파동방정식을 뜻합니다. 아무리 어려운 양자역학 문제라도 기
본
은 이 ψ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 파동방정식 앞에 붙어 있는 ∂와 ∇라는 기호는 미분을 뜻합니다. 파동방정식을 구하려면 미분과 적분을 꼭 거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수함수는 미분과 적분을 해도 모양이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불가능한 생물이다. 생장 속도가 아주 더디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지의류 전문가인 일
본
국립과학박물관 가시와다니 히로유키명예연구원의 책 ‘지의류는 무엇일까’에 따르면, 치즈지의의 경우 1년 동안 자라는 길이는 많아야 0.5mm에 불과하다. 북극권이나 유럽에서는 더욱 더뎌서, 100년 동안 겨우 ... ...
돌아온 배달의 달인 ‘산타다 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마이클, 루카스 등 굉장히 많았다.“어? 그런데 사슴 한 마리가 안 보이네? 혹시 누구
본
사람 있나? 자리를 비운 사슴을 좀 찾아달라고~”미션3 굴뚝을 통과하라~!“이제 드디어 사슴을 찾아서 집에 도착했어. 굴뚝을 타고 안으로 들어가야겠군.그런데 요즘은 굴뚝이 너무 복잡한 게 많단 말이야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갑상선 호르몬에서 뽑은 ‘T1AM’이 각광받고 있어. 이 두 물질을 쥐의 몸에 넣어
본
결과 겨울잠과 비슷한 잠을 자는 것으로 확인됐거든. 과학자들은 사람에게도 동면물질을 넣어 체온을 낮춘다면, 대사활동으로 만들어 지는 노폐물이 줄어들어 더 오랫동안 겨울잠을 잘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 ...
현무암에서 화석 찾지 말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돌이 될 만큼 오래 품고 있을 수가 없답니다.그럼 화석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만화를
본
친구들이라면 잘 알겠죠? 화석은 흙이나 모래 같은 퇴적물이 쌓여 굳은 퇴적암 속에서만 나와요. 퇴적물이 쌓이는 과정을 ‘퇴적’, 쌓인 퇴적물이 단단하게 굳는 과정을 ‘암석화’라고 하지요. 화석이 되는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혹시 공작새를
본
적이 있나요? 공작은 정말 멋진 새예요. 새 중에서 상당히 크고 깃털은 화려하기 그지없어요. 특히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커다란 청록색 날개를 부채처럼 펼치고 흔들어요. 그런데 영국의 박물학자 찰스 다윈은 이런 멋진 공작을 보면 ‘역겹다’고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부르는 베짱이가 바로 여치의 한 종류예요.그런데 친구들 혹시 여치의 노래를 들어
본
적 있나요? 왜 여치의 노래는 귀뚜라미 노래처럼 익숙하지 않은 걸까요? 여치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소리는 공기압력의 변화가 전달되는 것이에요. 공기압력의 변화는 우리 귀에 있는 고막을 통해 감지할 ...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본
초록빛 오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엷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어요. 북극지방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사람들은 하늘에 초록빛 커튼이 휘날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답니다 ... ...
빈틈없는 유격훈련 조교 ‘대충하지 마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참가한 올빼미들~, 오늘 같이 뜻 깊은 날 만나서 겁나게 반갑습니다.
본
조교는 악명 높기로 유명한….”10월 1일은 국군의 날이다. 우리 국군의 자신감 있는 모습을 알리고, 군인들에게 사기를 올려 주려고 지정한 날이다. 한국전쟁 동안 밀려있던 우리 국군이 38선을 넘어 반격한 날이 1950년 10월 ... ...
보름달 VS 슈퍼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말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그해의 가장 작은 달인 미니문보다 지구에서
본
달의 지름 크기가 최대 14% 더 크고 30% 더 밝은 달을 슈퍼문이라고 정의했어요.슈퍼문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달의 공전 궤도에 있어요. 달의 공전 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달이 지구로부터 멀어졌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