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바위 조각들을 밖으로 빼내고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죠. 이 덕분에 크기나 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긴 터널도 뚫어나갈 수 있답니다.★비밀 2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TBM’안전하게 땅을 파고 들어갔다 해도 지하 도시를 완성 하려면 여전히 필요한 것이 있어요. 바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5호
- 2, 4}, {1, 2, 5}, {1, 2, 6}은 꽃잎이 4개인 해바라기입니다.1960년 에르되시 팔과 리처드 라도는 크기가 같은 집합을 충분히 많이 모으면 어떻게 모으더라도 꽃잎의 개수가 r개인 해바라기가 반드시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조금 더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함수 f(k, r)이 있다는 ... ...
- Part 3. [세 번째 실험] 가마가 생기지 않게 고양이 털 빗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지수와 소리는 같지만 뜻은 다르니 헷갈리면 안 돼요.가마가 없는 벡터장에서는 벡터의 크기가 0인 점(털의 길이가 0인 점)을 모두 찾아 그 점의 지수를 더하면 0이 돼요. 반면 지수의 총합이 0이 아니면 가마가 적어도 한 개는 있는 벡터장이지요. 하지만 고양이의 털을 깎거나 빗질을 새로 할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높여 줬을 때 스스로 결합하면서 형성된다. 이때 온도와 농도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의 크기와 그에 따른 색상이 결정된다.이렇게 만든 퀀텀닷은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김성지 포스텍 화학과 교수팀은 퀀텀닷을 이용해서 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학술지 ‘ACS 나노’ 1월 26일자 온라인판에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미세섬유는 물론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물질 흡착이나 독성에 대한 연구, 나노 크기의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 등 앞으로 해야 할 일이 아주 많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킥스타터에 소개된, 미세섬유를 줄일 수 있는 제품 두 가지를 소개한다. 독일 발명가 알렉산더놀트와 올리버 스파이가 개발한 ... ...
- [가상인터뷰] 오줌으로 대화하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우리처럼 강이나 호수와 같은 민물에 사는 물고기를 의미해요.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른데, 주로 무늬가 예쁘고 작은 종들이 사람들에게 관상용으로 사랑받고 있어요.최근 스위스 베른대학교 연구팀은 우리를 이용해 물고기의 의사소통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리고 물고기가 자신의 ... ...
- [과학뉴스] 항공모함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규모와 전투력이 어마어마하죠. 칼 빈슨함은 길이 330m, 폭 77m로 축구장의 약 3배 크기이고요, 유사시 바로 투입할 수 있는 항공기 75대를 싣고 최고 시속 56km로 달릴 수 있습니다.심지어 항공모함 한 대가 움직이면 수 척의 이지스 순양함, 이지스 구축함, 핵추진 잠수함 등이 ‘항모 전단’을 이뤄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곳은 터키의 ‘데린쿠유(Derinkuyu)’예요. 현재까지 발견된 지하 도시 중 가장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죠. 확인된 동굴의 깊이만 지하 20층 정도인 55m로, 2만 명은 족히 살 수 있을 만큼 넓어요.이곳에는 지상의 시설들이 거의 그대로 옮겨져 있어요. 주거용 방, 부엌, 가축을 기르는 공간까지 일상생활에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모양의 반죽이 뚝뚝 떨어져 나옵니다. 그런데 틀을 무턱대고 찍으면 안 됩니다. 반죽의 크기는 정해져 있어서 틀을 최대한 바짝 붙여 찍어야 많은 쿠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원석에서 중량이 큰 보석을 만드는 일도 반죽을 찍는 일과 비슷합니다. 보석을 원, 타원, 브릴리언트 커트 등 어떤 모양으로 ...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한계가 있었다.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자기장 패턴을 만들고 중심부에 바이오센서를 놓았다.실험 결과,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