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인공은 남아메리카에 사는 ‘물방울무늬 청개구리(Hypsiboas punctatus)’예요. 이 개구리의 크기는 3cm이고, 새벽이나 밤에 주로 활동해요.자연광에서 물방울무늬 청개구리는 초록과 노란색, 갈색이 뒤섞인 색이에요. 그런데 연구팀은 자외선 손전등을 비추자, 개구리의 몸 색깔이 청색과 초록의 형광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기 때문이지요. 즉, 우리가 체중계를 통해 보는 숫자는 체중계가 우리를 떠받드는 힘의 크기인 셈이지요.엘리베이터에서 몸무게를 재 보면 이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엘리베이터가 올라가기 시작할 때를 상상해 볼까요? 그땐 엘리베이터가 위쪽으로 올라가며 체중계가 우리 몸을 떠받드는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에 항암제를 먹인 뒤 행동과 성장 등을 관찰한 결과 벌레의 크기 변화, 알의 개수, 알의 부화 속도, 생식세포의 형태 등을 통해 항암제의 독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기존 독성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용 쥐 100마리를 희생시켜야 하고 실험 기간도 한 달이 걸렸던 반면, 이번에는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적합한 추력기”라고 말했다.최 교수팀은 현재 이온이 배출되는 추력기의 헤드가 동전 크기만 한 초소형 홀 효과 추력기를 개발 중이다. 이미 헤드 부분이 어른 주먹만 한 소형 추력기를 만들어서 한국의 과학기술위성3호에 탑재하고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국내 기업 쎄트렉아이는 최 교수팀의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흐르는 현상)’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됐을 겁니다. 몇 주 뒤 가스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황산염 에어로졸로 바뀌어 전 지구에 실안개 층을 형성했을 거고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볼 때 성층권의 안개 층은 널리 뻗어 나갔을 겁니다. ‘절규’에 그려진 물결 무늬와는 다르게요. 실제로 188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차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한다. 엔지니어는 차의 종류와 콘셉트에 맞춰 엔진의 크기와 위치, 운전석과 뒷좌석의 위치, 앞유리의 각도, 차체의 높이 같은 조건을 정한다. 자동차 디자이너는 설계도에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디자인을 해야하기 때문에 단지 아름답게만 그리면 안 된다.슈퍼카가 등장할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나타내는 수치인 1명, 20%, 0.1%포인트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수치는 20%입니다. 일단 가장 크기 때문인데요. 청소년에게 아침밥을 먹는 습관을 적극 권장하기 위해서는 ‘❷ 아침밥을 먹으면 성적 오를 확률이 20% 증가한다’고 홍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반대로, 아침밥을 먹지 않아도 된다고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드론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신기한 모습이 펼쳐져요. 영상 속 호수 가운데에 지름 4.6m 크기의 뻥 뚫린 구멍이 있고, 그 속으로 호숫물이 빨려 들어가는 거예요. 구멍 속엔 식물들이 자라나 있어 마치 호수 속 절벽으로 폭포수가 콸콸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요. 대체 이 신비한 폭포의 정체는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말하면 엄마에게서 조금 더 많은 유전자를 물려받습니다. 난자는 정자보다 5배 이상 크기가 큽니다. 그 안에는 핵과 각종 영양분이 있는 세포질,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있죠. 즉, 2세의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는 엄마의 것과 똑같습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엄마에게서, 엄마는 외할머니, 외할머니는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금까지 알고 있던 목성과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번 관측에서 발견된 소용돌이들은 크기가 최고 1400km에 달하는 것까지 있었다. 연구팀은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 등을 세밀하게 측정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볼턴 연구원은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들은 지구를 뒤흔들 만한, 아니 목성을 뒤흔들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