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전략(ESS)’이 탄생한 순간이었다. 아라비아오릭스(Oryx leucoryx)는 망아지 정도 크기의 작은 영양이다. 길고 곧은 두 뿔이 회초리처럼 뒤를 향해 솟아 있다. 멋진 뿔 덕분에 카타르 항공의 심벌마크로도 등장한다. 그런데 이 뿔이 정작 수컷들끼리 싸울 때는 최악의 무기가 된다. 뿔이 뒤로 나 있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탄생한 ‘인생샷’ 제조 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점수를 매겨 점수가 높아질 수 있도록 화살표로 안내하는 앱을 개발했어요. 얼굴의 크기를 줄일지 키울지, 광원과 얼굴의 위치는 어디가 좋은지 화살표로 알려줘요. 100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이 앱으로 찍은 사진이 일반적인 카메라 앱으로 찍은 사진보다 26% 높은 평점을 받았어요. 앞으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를 나타내는 식입니다. 예를 들어 채색 다항식 χG(q)가 q4-4q3+6q2-3q라면 1, 4, 6으로 숫자의 크기가 증가 했다가 3으로 한 번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즉 뒤이어 나오는 계수는 절댓값이 무조건 3 이하여야 하지요. 허 박사의 첫 논문이기도 한 이 문제는 2012년 ‘미국수학회저널’에 실렸습니다. 허 박사가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인간이 피폭되면 즉사하는 수치다. 리틀 선피시는 지름 13cm, 길이 30cm로 아담한 크기다. 격납용기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의 지름이 14cm여서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작게 설계했다. 연구팀은 로봇 앞뒤에 비디오카메라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달았다. 또 깊이가 6m나 되는 격납용기 속에서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냄새가 날 염려도 없다. 3D프린터의 도움을 받다두 사람은 피렌체 화분의 모양과 크기가 안쪽 화분과 잘 들어맞는지, 포장재가 화분의 무게를 잘 견디는지를 실험해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니터에서만 보던 피렌체 화분의 3차원 도면을 만질 수 있는 실물로 구현해야 했다. 이들은 3D프린터로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알을 낳는 닭은 ‘배터리 케이지’라는 틀에 갇혀 살아요. 한 마리 당 A4 종이 한 장의 크기도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날개도 제대로 펼치지 못한 채 평생 알만 낳는 거예요. 이런 환경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닭은 다른 닭을 부리로 쪼아 상처를 입히기도 해요.돼지는 ‘스톨’이라는 틀에 갇혀 ... ...
- [과학뉴스] 토스터 크기 검출기로 ‘유령 입자’ 검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중성미자 빔을 발생시키고, 이 빔을 검출기에 쏘아 실험했다. 검출기는 무게가 14.6kg, 크기는 토스터만 하다. 나트륨이 도핑된 요오드화세슘 결정으로 만들었다. 과거에 수천t(톤)의 검출기가 이용된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검출 실험을 461일 이상 지속한 결과, 결맞음 탄성 중성미자-핵 산란으로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굴러가는 게 아니라 남은 연료를 분사해서 뛰어올라 500m를 이동하는 것이다. 로봇의 크기는 식기세척기 정도인데, 달에 도착해 이동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달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임무도 수행할 예정이다. 스페이스IL이 달 탐사에 도전하는 목적은 이스라엘의 미래 세대가 과학기술에 더 흥미를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실험센터와 함께 지진이 첨성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진행했다. 약 15분의 1 크기로 축소한 첨성대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인공 지진을 일으켜 첨성대에 미칠 영향을 시뮬레이션했다. 또한 건축문화재에 대한 지진의 영향은 문화재가 위치한 지반 상태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책임연구원을 만났다. 그는 영상처리 전문가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종양의 위치와 크기, 모양을 파악해 자동으로 3차원 종양 그림을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3차원 뇌 종양 그림 자동 추출하는 소프트웨어이 책임연구원은 국립목포대 전자공학과(현 전자·정보통신공학과)를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