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제트류 구름(위 사진)은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스터리로 꼽힌다. 지구가 2개 들어갈 크기의 영역 안에서 제트기류가 초속 100m로 빠르게 회전하는데, 전체적으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일부 작은 소용돌이는 시계 방향으로 돈다. 지구의 허리케인은 보통 일주일 정도 지속되지만, 이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디옵터(D)가 -6이 넘으면 고도 근시라고 볼 수 있다. 고도 근시는 성인이 돼서도 눈의 크기가 계속 커진다. 안구 내부는 망막이라는 신경막이 마치 벽지처럼 발라져 있다. 그리고 망막 아래 혈관층(맥락막)이 있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있다. 고도 근시가 계속 진행되면 10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일회용 생리대 10개의 구조를 분석했다. 일회용 생리대는 크기와 종류를 고려해 제조업체와 상관 없이 임의로 10개를 골랐다. 또 제조업체에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밝히고 있는 일회용 생리대의 구성 성분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나왔다면 생리대의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주파수를 높이면 주기당 전압과 전류의 변화가 작아져 인덕터나 커패시터(축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LG전자와 공동으로 재질에 관계없이 데울 수 있는 인덕션 히팅 기술도 개발 중이다. 원하는 주파수에서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코일에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자기 자신의 일부분과 크기가 같은 이상한 일이 생긴다. 무한을 상태가 아니라 수처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대상, ‘실무한’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가무한에 대한 믿음이 강력했기 때문에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기원전 6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철학자 필로포노스는 태어나는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칸토어 집합’ 셀 수 있다는 ‘착각’그러나 칸토어 집합은 ‘실수 집합보다는 크기가 작고, 원소를 셀 수도 있는 실수 집합’이 아니었다. 수직선을 n번 자르면 실수 조각은 2n개가 남는다. 자연수 개수만큼 수직선을 자르면 자연수 집합을 뜻하는 기호 N을 써서 남은 실수 조각의 개수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국스포츠개발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거예요. 센서를 팔에 붙이고 주먹에 힘을 꽉 쥐자, 화면에 그래프가 요동치며 힘의 크기를 알려 줬답니다. 지면반력 측정기를 밟으면 누르고 있는 힘이 화살표로 표시되는데, 힘이 셀수록 화살표 길이가 길어진다.만약 두 개의 발판에 양발을 나눠 밟으면, 양발의 힘이 얼마큼 다른지 알 수 있다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리온실 구조로 덥고 습한 열대우림을 그대로 느낄 수 있어요. 축구장의 약 2배 크기인 4500평 규모의 온실엔 40여 종의 동물들이 살아가고 있지요. 지저귀는 새 소리와 동물 소리 덕분에 실제 밀림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답니다.관람객들은 밀림 사이로 난 좁은 길을 따라서만 움직일 수 ... ...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꽤 오래전 개발됐다. 1998년 8월 24일, 케빈 워릭 영국 코번트리대 부총장이 진주만 한 크기의 칩을 왼쪽 팔에 심어 세계 최초의 RFID 칩 인체 이식자가 됐다. 워릭 교수는 이식된 칩을 9일 동안 사용했다. 2004년에는 베리칩(VeriChip, 2009년부터는 ‘PositiveID’로 이름 변경)이라는 인체 이식 RFID 칩이 미국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얼마나 빠른 속도로 식히느냐에 따라 최종 색상이 달라진다. 내부에 생기는 석출 입자의 크기와 양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는 수많은 조합별로 실험한 결과를 ‘팬톤색’에 따라 표준화했다. 팬톤색은 미국의 색채 전문 회사인 팬톤에서 개발한 차트로, 산업 전반에서 표준 색채로 사용되고 있다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