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뉴스
"
선임
"(으)로 총 2,19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2013년 현택환 서울대 교수팀이 발표한 ‘사이언스’ 논문의 3D 영상을 만들 때 오명환
선임
연구원(제1저자)과 3박 4일간 합숙하기도 했다. 그는 “함께 작업하며 정을 쌓고 친해진 과학자도 많다”라고 말했다. 간혹 과학자와 의견 충돌이 있을 때도 있다. 과학자들이 자신의 연구를 최대한 정확하게 ... ...
우주판 ‘냉정과 열정 사이’ 초록 은하는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6.08.01
※ 필자소개 신민수 ☞http://astromsshin.github.io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연구그룹
선임
연구원.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관측 자료의 비교 분석, 기계학습을 활용한 대용량 자료 분석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천체물리학 문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 ...
까다로운 심근경색 진단…피 한 방울로 1분이면 '끝'
2016.07.29
걸릴지를 알아보는 일도 가능해진다.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
연구원팀은 한 방울의 혈액으로 간단하게 치매의 발병 가능성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2014년 개발하고 같은 해 10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했다. 알츠하이머에 걸릴 인자를 갖고 있는 ... ...
리우 올림픽 메달 색깔 바꾸는 비장의 무기는 ‘과학’
2016.07.29
쬐고 그 이후에는 피하는 방식으로 수면 시간을 조정한다. 민석기 한국스포츠개발원
선임
연구원은 “현지 시간이 낮일 때에 맞춰 출국 전 3~5일 정도 광선치료를 실시하면 멜라토닌 분비 시간이 바뀌어 수면 리듬 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다음으론 신체 컨디션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는 ... ...
빛의 색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
2016.07.25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순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선임
연구원 팀은 사탕이 부서질 때 자외선이 발생하는 ‘미케노발광’ 현상을 응용해 빛의 색 조절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미케노발광은 기계적인 힘으로 전자의 이동과 결합을 일으켜 빛을 내는 ... ...
수명 4배 길어진 유연 태양전지 개발
2016.07.19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손해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선임
연구원(사진) 팀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유연 태양전지의 수명을 4배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유연 태양전지에는 ‘PEDOT:PSS’라는 물질이 ... ...
[사드 전자파 논란] 국내도입 유사 기종 대부분 ‘안전’
2016.07.14
3만6000㎞에 더 있는 정지궤도 위성과도 통신할 수 있다. 박덕종 항우연 지상체계개발팀
선임
연구원은 “1999년부터 운영해 왔지만 안테나 바로 옆에 가지 않는 한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과학계에선 체중 1㎏ 당 4와트(w) 이상의 전자파가 전달될 경우 위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 ...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07.05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필자소개 허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
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부교수로서 영장류학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대학교 학부생 시절 일본원숭이가 눈싸움 하는 동영상을 보고 너무 신기해서 원숭이를 연구하는 학자가 되는 꿈을 키웠다 ... ...
장기기증자의 눈물: 생존 장기기증자는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07.02
주체인 생존 기증자를 감춰버리는 결과를 낳았죠.” 하대청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선임
연구원이 말했다. 과학사회학자인 그는 몇 년 전부터 국내 장기기증의 윤리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건강에 아무 이상이 없던 사람들이 오직 수혜자를 위해 큰 수술을 감내하는데, 정작 기증자는 수술 이후 ... ...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30
발견한 중간질량 블랙홀이 주목 받고 있다. 김민진 한국천문연구원 은화진화그룹
선임
연구원은 활동성 은하인 NGC 5252에서 약 3만 광년 떨어진 공간을 떠도는 블랙홀을 발견해 학술지 ‘천체물리학’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김 연구원은 “이번에 발견한 광원은 별 질량 블랙홀보다 훨씬 밝기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