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뉴스
"
선임
"(으)로 총 2,19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준硏 신임 원장에 권동일 서울대 교수
2016.06.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임 원장에 권동일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59·사진)를
선임
했다고 22일 밝혔다. 권 신임 원장은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정책보좌관, ... ...
안 보이던 류마티스 관절염까지 찾아내는 새로운 조영제 개발
2016.06.21
새로운 조영제를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박지애·김정영
선임
연구원팀은 체내 염증과 종양 구별이 가능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용 진단신약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PET은 체내를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의료기기다. 흔히 조영제라 부르는 방사성 의약품을 ... ...
“러시아에서 산불 나면 韓 초미세먼지 농도 높아져”
2016.06.21
산불 발생 시 나타나는 마노산, 칼륨 등의 성분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
선임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초미세먼지의 외부 요인으로 중국의 공업 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산불도 국내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 ...
드론 공격 막는 도심형 레이더 개발
2016.06.15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오대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IoT로봇융합연구부
선임
연구원 팀은 2개의 레이더 수신 채널을 활용해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실시간으로 탐지 및 인식할 수 있는 듀얼채널 초고해상도 레이더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드론 탐지가 가능한 ... ...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
2016.06.14
만든 플래시 메모리 전자소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연구에 참여한 황도경 KIST
선임
연구원은 “아직 기초적인 단계인 만큼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플래시 메모리를 뛰어넘을 수는 없지만 흑린 기반 플래시 메모리의 이론적인 가능성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며 “정보를 저장하고 쓰는 데 ... ...
그래핀 전자소자 크고 두껍게 만드니 발열 ‘뚝’
2016.06.07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김성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선임
연구원(사진) 팀은 그래핀의 크기 및 두께와 열전도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은 두께가 원자 한 층에 불과할 정도로 얇고 기존 실리콘 소재보다 전자 ... ...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06.07
내뿜는 현상으로,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다. 김민진 은하진화그룹
선임
연구원은 “은하는 진화과정에서 내부에 있는 블랙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구글 떠나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대재앙의 시작?
2016.06.04
대표로 MIT 레그 랩에서 BD의 창업자 마크 레이버트와 같이 일했던 길 프랫(Gill Pratt)을
선임
하고 많은 구글의 로봇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영입해온 것으로 봤을 때, BD의 인수를 전략적으로 준비되어 왔다는 인상이 짙다. 혼다 등 경쟁사와의 로봇 분야에서의 격차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길이라 믿고 ... ...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 동물?
과학동아
l
2016.06.04
훌륭한 귀감이 된다. ※ 필자소개 허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
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부교수로서 영장류학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대학교 학부생 시절 일본원숭이가 눈싸움 하는 동영상을 보고 너무 신기해서 원숭이를 연구하는 학자가 되는 꿈을 키웠다 ... ...
20분만에 지카바이러스 진단하는 키트 개발
2016.06.02
출전하는 각국 국가 대표 선수단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쓰일 수 있다. 배
선임
연구원은 “사용법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빠르고 고가 장비가 필요없어 검사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한다”며 “유용한 항원과 항체를 만드는 연구단의 기술을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