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012년에 나노기술을 접목해, 유전자 칩 기술을 개발한 적이 있어요.
세포
내에 있는 나노단위 미세 구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었는데, 이 기술은 국내 한 특허사업화 전문기업에 고가로 팔렸어요. 나노기술을 접목해 흔한 유전자 칩 기술을 업그레이드 한 결과죠.” 나노(NANO)란 ‘10억분의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으로도 유명하다. 연구자들은 66~91세인 이카리아섬 주민 142명을 대상으로 혈관의 안쪽
세포
인 내피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지표인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을 측정했다. 지혈대로 피의 흐름을 막았다가 풀었을 때 혈관내막의 이완성을 보는 방법으로 반응값이 클수록 혈관건강이 좋다는 뜻이다.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현생인류의 계보에 네안데르탈인이 유입됐을 경우 세대를 거치면서 상염색체는 생식
세포
를 만드는 과정에서 재조합을 통해 섞이므로 2010년 결과처럼 ‘현생인류 게놈에 네안데르탈인 게놈이 2.5% 들어있다’는 식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모 아니면 도’일 것이라는 것.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와 FFAR3 같은 수용체에 달라붙어 일련의 대사반응을 촉발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로 지방
세포
에서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의 분비를 더 많이 분비된다. 랜디 실리 교수는 “호르몬의 관점으로 식품을 보면 건강을 증진하거나 병을 치료하기 위한 권장 식단을 설계할 때 큰 영감을 얻을 수 있다”고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비만이 되면 간과 지방조직이 정도는 약하지만 만성인 염증 상태가 되게 하고 그 결과
세포
가 호르몬의 조절작용을 잘 따르지 않게 돼 증상이 악화된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암렉사녹스는 오래 사용된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라며 “비만과 당뇨 치료제로 재활용될 좋은 기회”라고 언급했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핵
세포
라고 명명하면서 이에 기초한 2계 분류법을 제안한다. 이제 원핵
세포
진핵
세포
라는 이분법이 다시 첫째 고개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사실 현재 생물학을 보는 관점은 여전히 이 분류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분류학의 역사로 돌아와서 1956년 코플랜드는 헤켈과 샤통의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확인한 것.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은 숙주
세포
표면의 시알릭산에 달라붙어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과정을 시작하게 한다. 길쭉한 단백질인 헤마글루티틴은 땅에 말뚝이 박혀있듯이 바이러스 지질막에 박혀있는데 시알릭산을 인식하는 바깥쪽은 머리영역, 막을 향하는 안쪽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신경의 흥분과 전도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즉
세포
밖에 고농도로 있는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밀려오면서 활동전위가 바뀌어 신경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 연구로 두 사람은 존 에클스와 함께 노벨상을 받았다. 그 뒤 헉슬리는 근육 수축으로 관심을 돌려 미오신 단백질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데이비드 필립스 박사 실험실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당시 필립스 박사팀은 박테리아
세포
벽을 파괴하는 효소인 라이소자임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둘 뿐이었다. 1965년 마침내 라이소자임의 구조가 규명됐는데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f2와 DNA 단일가닥 게놈인 박테리오파지 f1을 잇달아 발견했다. f2는 박테리아에 달라붙어
세포
안으로 게놈을 넣고 이 게놈 자체가 전령RNA로 작용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1980년대 후반 진더는 DNA이중나선을 발견한 제임스 왓슨과 함께 인간게놈프로젝트(HGP)가 출범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