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3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핵
세포
라고 명명하면서 이에 기초한 2계 분류법을 제안한다. 이제 원핵
세포
진핵
세포
라는 이분법이 다시 첫째 고개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사실 현재 생물학을 보는 관점은 여전히 이 분류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분류학의 역사로 돌아와서 1956년 코플랜드는 헤켈과 샤통의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확인한 것.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은 숙주
세포
표면의 시알릭산에 달라붙어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과정을 시작하게 한다. 길쭉한 단백질인 헤마글루티틴은 땅에 말뚝이 박혀있듯이 바이러스 지질막에 박혀있는데 시알릭산을 인식하는 바깥쪽은 머리영역, 막을 향하는 안쪽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신경의 흥분과 전도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즉
세포
밖에 고농도로 있는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밀려오면서 활동전위가 바뀌어 신경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 연구로 두 사람은 존 에클스와 함께 노벨상을 받았다. 그 뒤 헉슬리는 근육 수축으로 관심을 돌려 미오신 단백질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데이비드 필립스 박사 실험실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당시 필립스 박사팀은 박테리아
세포
벽을 파괴하는 효소인 라이소자임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둘 뿐이었다. 1965년 마침내 라이소자임의 구조가 규명됐는데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f2와 DNA 단일가닥 게놈인 박테리오파지 f1을 잇달아 발견했다. f2는 박테리아에 달라붙어
세포
안으로 게놈을 넣고 이 게놈 자체가 전령RNA로 작용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1980년대 후반 진더는 DNA이중나선을 발견한 제임스 왓슨과 함께 인간게놈프로젝트(HGP)가 출범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잡종이 나왔고(ABD), 역시 마찬가지 이유로 감수분열이 제대로 안 돼 그 자체가 생식
세포
가 되면서 6배체(AABBDD, 2n=6x=42)인 빵밀이 나온 것이다. 오늘날 야생에서는 6배체 밀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빵밀은 인류가 만든 작품으로 보인다. 하지만 게놈 비교 분석으로 추론한 시기는 야콥의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가설에 따르면 SIR2가 억제하는 건 노화촉진 유전자들로 그 결과 노화가 늦춰진다는 것.
세포
내 분자 메커니즘까지 밝혀지면서 힘을 얻은 칼로리 제한 이론은 이제 단 한 가지 실험만 남겨놓고 있었다. 즉 사람에서도 칼로리 제한이 수명연장으로 이어질까에 대한 확인이다. 사실 칼로리 제한은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백혈병 치료에서 방사선은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하다.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신체
세포
중 백혈구가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백혈구가 이상 증식하는 백혈병 환자에게 적절한 양의 방사선을 쬐어주어 한때 백혈구의 숫자를 낮출 수 있다. 재생불량성빈혈 등으로 골수 이식을 할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따라서 프르제발스키 말은 가축화된 말과 염색체 개수가 다름에도 한 종으로 분류된다. -
세포
유전학 제공 프르제발스키 말은 종다양성의 관점에서도 중요하지만, 오늘날 말이 가축화되면서 게놈상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파악하는데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논문에서 프르제발스키 말을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제안했다. 융합연구 측면의 의미도 제시됐다. 김윤곤 숭실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돼지
세포
나 단백질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체에 대한 자료를 구축해 해외 저널에 논문을 싣는 등 좋은 결과를 냈다”며 “화학공학자로서 이종이식 연구에 참여하면서 융합연구의 좋은 모델을 만들었다고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