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으)로 총 1,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과학동아 l201209
- 처음 부른 사람도 메르카토르였다. 캘리그래피(서체)에 대해 책을 쓰기도 했고, 수학이나 천문학 같은 다양한 학문에 관심이 깊었다.여전히 지도하면 메르카토르의 지도가 떠오를 정도지만, 그의 이름은 교과서에서 지도에 대해 배울 때 한 번쯤 들어 보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 ...
- 내 곁에 외계인과학동아 l201209
- 진로를 바꿨다. 우주생물학 책을 집필하는 데 이보다 적합할 수 없다. 더구나 수학과 천문학 관련 교과서를 여럿 쓸 정도로 지식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데 능하다. 생물학과 천문학, 지구과학 지식을 총망라한 이 두툼한 책이 술술 읽힐 수 있는 것은 아마 이런 저자의 특출한 능력 덕분일 것이다. ... ...
- [생활] 유희의 수, 15수학동아 l201208
- 15는 당구와 각종 퍼즐에서 만날 수 있는 수다. 또한 천문학의 수이기도 하다. 보름은 보름달이 뜨는 음력 15일, 또는 15일이라는 기간을 뜻한다. 또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기후의 변화를 나타내는 24절기와도 관련이 있다. 지구가 태양을 1년 동안 한 바퀴 360° 회전하는 것을 15°로 나누어 1년을 2 ...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과학동아 l201207
- 언제부터 발견됐을까? 일부학자들은 1396년에 최초로 일어난 금성일식을 아즈텍의 천문학자들이 관측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 후 비로소 1639년에 제레미 호록과 윌리엄 크랩트리가 최초로 금성 일식을 관측했다. 제레미 호록은 금성 일식이 8년을 주기로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중략…)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07
- 연구 결과를 1998년 두 팀의 천문학자들이 독립적으로 발표했다. 이 발견에 참여한 3명의 천문학자들은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과학동아 2011년 12월호 기획 ‘2011 노벨상’ 참조).이어진 여러 관측 결과, 우주는 태어난 지 약 70억 년이 지난 후부터 팽창속도가 점점 빨라졌다. 우주가 이렇게 ...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07
- 만났다. 사실 아직도 서로를 잘 알지는 못하지만 꽤 친한척 같이 다녔다.일반적으로 천문학계의 국제학회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일간 열린다. 3일째 되는 날 오후엔 머리도 식힐 겸 주변 기관이나 명소를 탐방하곤 한다. 이번엔 30분쯤 떨어진 작은 마을 ‘팃빈빌라’를 방문하게 되었다. 그곳엔 ...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207
- 우리가 알고 있는 물질만으로는 우주에 존재하는 질량의 4%밖에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천문학자들은 나머지 96% 가운데 23%가 암흑물질이고 73%가 암흑에너지라고 추측한다. 어떤 과제를 하건 안 하건 뇌가 소모하는 에너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디폴트 네트워크를 뇌의 암흑에너지로 부른 ... ...
- 종말론 뒤집은 마야달력 발견!수학동아 l201206
- 나온 셈이다. 이번에 발견된 유적지에는 달력 외에도 화성이나 금성, 월식 등 다양한 천문학 계산을 한 상형문자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연구팀은 “이와 같은 복잡한 천문 계산은 마야 달력을 만들기 위해 필요했을 것”이라며, 마야 달력의 위대함을 강조했다 ...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과학동아 l201206
- 그의 책에서 “거대질량 블랙홀은 레버가 1939년 이미 발견한 것이었다”며 “그러나 천문학자들이 블랙홀이라고 결론을 내릴 때까지는 40년이 걸렸다”고 쓰고 있다.중간질량 블랙홀 연구도 활발2000년대 들어 중심에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은하가 계속 발견됨에 따라 이제 거대질량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06
- 결합이 느슨해져 거의 점성이 없는 묽은 수프나 기체처럼 변하게 하는 온도다. 이는 천문학자들이 대폭발(빅뱅) 시기와 같다고 보는 상태다. 이 실험을 ‘미니빅뱅’이라 부르는 이유다.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기네스 기록도 우주 최고의 온도로 빅뱅을 꼽고 있다는 점이다. 인류가 직접 경험하지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