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325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06
이유를 이같이 지적했다. 슈퍼컴퓨터는 그 자체도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유지비도
천문학
적인 수준이다. 그런데 설상가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적어 기계를 ‘놀리는’ 시간이 길어진다면 경제성도 함께 추락한다.오늘날 슈퍼컴퓨터의 성능 경쟁은 개인용 컴퓨터에 비견할 수 없을 정도다. ... ...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
과학동아
l
201206
어떻게 이런 거대한 덩치를 키웠을까. 이런 의문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지만 최근
천문학
자들은 이에 대해 하나 둘 답을 하기 시작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06
이미 초기 우주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은 또 다른 수수께끼를 던져주고 있다. 현재까지
천문학
자들이 알고 있는 한 블랙홀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은 무거운 별의 죽음밖에 없으며 이렇게 생긴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3~10배에 불과하다. 이런 블랙홀이 태양질량의 10억 배까지 자라기 위해서는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05
끈이론과 관련한 부분을 따로 파트로 묶었기 때문에 이들과 순서가 다르다. [프랑스의
천문학
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이 1888년에 펴낸 책 ‘대기권 : 일반기상학’에 실린 목판화. 15~16세기에 만들어진 작자미상의 작품이다. 중세의 선교사로 추정되는 인물이 하늘의 끝으로 나가고 있다. 오늘날 우주의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05
방향으로 치우쳐 움직이고 있는지를 알게 된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이런 일이 가능하다.
천문학
자들은 코페르니쿠스 원리로부터 자유롭기를 갈망한다. 내가 보는 우주가 혹시 위치 때문에 정확히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닐까 염려하며 북반구에서도 남반구에서도 가까운 우주와 먼 우주를 관측하고 또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05
조건이라면, M-왜성 주변에도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버드대
천문학
자이자 베르타의 지도교수인 데이빗 샤르보노가 시작한 MEarth 프로젝트가 바로 이것이다. 작고 차가운 항성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05
현재 정착 가능한 제2의 지구는 없다. 그렇다고 우주에서 사는 것이 가능할까. 쉽지 않다.
천문학
적인 비용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든 비용을 살펴보자. 약 1500억 달러(약 200조 원)가 투입되고 있으며 승무원 한 명당 하루 체류 비용만 750만 달러(약 85억 원)다. 해저도시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05
많았는데, 이번 연구로 해결됐다”고 밝혔다.앨버트 지즐스트라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
천문학
부 교수는 “강한 항성풍에 있는 먼지는 우주 먼지가 돼 새 별을 탄생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별이 탄생하고 죽는 순환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05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왜곡하지 않고 정확히 표현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말한다.
천문학
분야의 시각화 작품이 ‘스타워즈’처럼 흥미롭지만 과학의 정확성도 유지하는 식으로 균형을 잡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2008년 그는 우리은하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지 정확히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05
인상은 그 후 그분을 30년 가까이 옆에서 모시면서도 변함없었다.”광복 당시, 물리학과
천문학
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 4명 중 한 명인 조응천(1895~1979)은 1895년 평안북도 강서군에서 태어나, 평양 숭실중학교와 숭실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했다.1928년 미국 인디애나대에서 최대전류 조건에서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