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d라이브러리
"
난치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먹는 것이다. 또 근육이나 정맥에 주사하는 방법이 있다. 요즘은 수술을 받은 환자나
난치
성 통증, 그리고 말기 암환자에게 척수를 둘러싼 막사이의 빈 공간(경막외강과 지주막하강)으로 마약성 제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특히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진통제를 투여하면 마취에서 깨어난 뒤에도 수술에 ... ...
4 유전자 치료법 개발, 질병없는 세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DNA를 하나의 약제(gene as a drug)로 사용하는 개념이다. 앞으로 닥쳐올 21세기에서는 인간의
난치
병을 치료하는 가장 중요한 무기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유전자 요법의 효시는 1990년 9월 14일 아데노신 디아미나제(ADA) 결핍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사례다.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임상시험 단계에 있다.최근 20여년 사이에 이뤄진 놀라운 생명과학의 발전은 암을 비롯한
난치
병의 정복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인 공동과제로 진행되고 있는 인간 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는 인간의 모든 유전자를 밝혀내기 위한 사업이다. 인간의 유전자가 ... ...
2 알츠하이머병, 마음도 늙는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보낸 신경병리학의 선구자로서, 당대에는 오늘날의 에이즈(AIDS)와 같이 골치아픈
난치
성 전염병이었던 신경매독을 깊이 연구하여 매독균에 의해 정신이 황폐화되는 병리학적 기전을 명쾌하게 규명했다.어째서 이미 1백년 전에 살다간 의사에 의해 기술된 병이 오늘날 유행처럼 되살아나고 있는 ... ...
3 마음까지 읽는 영상진단기기 PET 등장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질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예방이 가장 중요 하나
난치
병일수록 그 원인이 불분명하다. 가장 사망율이 높은 암(cancer)만 해도 아직 예방의 왕도가 없다. 그러므로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여 정확한 치료를 행하는 것이 최선이다.의사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 ...
5 의학·자연과학·공학의 3중주 의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중요성을 심각하게 생각할 시기에 온 것 같다.의과학을 정의하자면 인류가 직면한
난치
병이나 불치병의 정복을 목적으로 기존의 의학과 다른 분야의 관련 과학기술을 접목시키는 종합과학이다.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의학을 비롯한 자연과학 등 여러 분야가 관련된다.미국의 경우 국립보건연구원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되고, 기와 관련된 여러가지 건강비법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심지어는 기를 이용해
난치
병을 치료한다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들리며, 기를 상품화한 제품(베개 조끼 등)조차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의 범람을 정확히 평가하고 대응할 만한 잣대는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그렇기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걸린다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은 보통 감기부터 AIDS까지 아주 다양하다. 대부분의
난치
병들이 바이러스가 원인균이라고 보아도 좋을 정도다. 그래서 특성을 잘 나타내는 몇개의 바이러스 '과'를 선정하여 질병과 연계짓는 것이 좋겠다.1. 폭스바이러스과(Poxvirus) : 척추동물은 거의 이 ... ...
포항공대, 20억 전자볼트급 선형가속기 완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방사광가속기는 DNA나 단백질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난치
병 치료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소재 개발, 2백56MD램 이상이 초고밀도 집적회로 제작 등에 쓰일 예정이다 ... ...
가상현실시스템 의료분야에 응용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의학분야의 문을 노크하고 있다. 최근 의학분야에는 그동안 치료 불가능으로 분류돼온
난치
병에 대한 도전이 활발하다. 이에 따라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이 커지며 환자의 입원일수도 비교적 장기화되고 있다. 또 퇴원 후에도 일상생활에 많은 제한이 가해진다. 이런 환자는 병 그 자체의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