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d라이브러리
"
난치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올리고 있다.암과 달리 에이즈는 외부의 병원균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난치
병이다. 에이즈는 전세계적으로 3천만명이 넘는 감염자와 1천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고 현재에도 매일 1만6천여명을 감염시키고 있다.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에이즈는 불치의 병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난 1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신장 결석, 에이즈,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난치
병들의 주요 원인은 바로 단백질이 특정 부위로 이동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긴 탓이라고 한다. 따라서 블로벨 박사의 연구 내용은 이런 질병들의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복제 자체를 반대하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이미 동물복제가 실현됐고 인간배아복제 역시
난치
병 치료에 보탬이 된다는 점이 반대를 꺼리게 만들었다. 그렇다고 선뜻 찬성을 하기에는 뭔가 문제가 있는 듯했다. 시민 모두는 이런 갈등을 겪으며 수없이 판단을 거듭해야 했다.마침내 보고서 작성에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인간이 탄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유방암이나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난치
성 질환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물론 공격성과 같은 인간의 나쁜 성격을 결정짓는 유전자를 제거하면 새로운 체질과 성격을 갖춘 인간이 탄생한다는 말이다.한쪽이 발달하면 다른쪽은 기형후쿠야마 교수는 현재 ... ...
④ 인간 대신
난치
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달라졌다. 과학자들은 유방암이나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인간이 앓고 있는 각종
난치
성 질병을 일으키는 듯한 유전자를 쥐의 난자에 집어넣었다. 이 ‘질환 보유’ 난자에 정자를 인공적으로 수정시켜 천성적으로 질병을 앓는 새로운 쥐를 만들어낸다.하지만 질환모델로서의 쥐의 역할은 여기서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왔다. 단지 품질 좋은 가축을 만들기 위해서만이 아니었다. 적절한 유전자를 삽입시키면
난치
병을 치유할 수 있는 긴요한 물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물질은 소량으로도 엄청난 부가 가치를 내기 때문에 과학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그래서 형질전환동물의 또다른 이름은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쥐들이다. 연구소는 이들을 포함한 6백여 종류의 돌연변이 쥐를 개발했다. 모두 인간의
난치
병을 극복하기 위해 몸에 병을 하나씩 달고 태어난 동물이다.이런 ‘가혹한’ 생을 타고난 동물은 비단 쥐에 그치지 않는다. 1989년 인간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보유한 돼지의 경우 스트레스에 과민하게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시도하기 전에 안전성과 유용성을 검증할 동물 실험에 어려움이 따른다.에이즈를 비롯한
난치
성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매우 높아서 감염되면 며칠 내에 생명을 잃게 만든다. 하지만 그런 탓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생명공학의 시대’라고 불리는 21세기가 눈앞에 닥쳤다. 생명공학은 인류에게
난치
병치료와 식량난 극복뿐 아니라 환경오염을 퇴치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생명공학이 가져다 줄 장밋빛 미래의 이면에 자칫 생명을 가볍게 여기고 함부로 다루는 행위가 만연할지 ... ...
인간복제 계기로 살펴본 생명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얼마 전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의 윌머트 박사가 인간복제 실험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난치
병 치료를 위해 수정란을 활용하려는 구상이다. 어떤 경우든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폐기된다. 그렇다면 수정란은 생명이 아니란 의미인가. 생명은 과연 언제 시작되는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